최근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심장병 환자가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고, 돌연사를 유발하는 심장병 환자의 80% 이상이 가정에서 발생하고 있으나 환자가족들 중 심폐소생술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없어 119구급대가 현장 도착 전 사망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급성심근경색이나 협심증 등으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인 경우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만 잘하면 소생 가능성이 75% 이상이라고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2000년 4월18일 잠실야구장에서 롯데 자이언츠 소속 임수혁 선수가 경기도중 심장 부정맥으로 갑자기 쓰러져 인근 병원으로 옮겨 응급처치를 받았으나 9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식물인간으로 살고 있다.
그 당시 전문가들의 진단에 의하면 쓰러진 직후 빠른 심폐소생술을 시행했다면 지금 같은 상황은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 사고 이후 많이 알려진 응급처치 방법이 심폐소생술(CPR)이다.
인천에서 2008년에 이송한 응급환자 수는 6만5222명이었는데 이들 중 심정지 환자 대부분이 주위에 있는 가족이나 이웃이 심폐소생술을 할 줄 몰라 119구급대가 도착하기 전 응급처치를 실시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 익사 등과 같은 사고시 정상적인 호흡과 순환을 회복시키기 위한 응급처치로 산소부족으로 뇌손상이 오는 최초 4분 이내에 기본적인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치료는 사람의 생사를 가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미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응급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민들에게 심폐소생술에 관한 교육 확산에 힘쓰고 있다.
우리 서에서도 심폐소생술 전담강사를 배치하고 원하는 시민 누구나 체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백번 듣고 보는 것보다 한번 직접 체험해보는 것이 실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누구나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우리 인천시가 현재 세계도시축전을 시행하고 있고, 2014년 아시안게임 등 큰 행사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안전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척도인 사고 손상감소는 119 소방공무원들만의 몫이 아닌 우리 모두의 책임임을 인식하고, 전 시민이 심폐소생술을 익혀둔다면 언젠가 기적은 반드시 일어날 것이고 인천은 더욱더 안전하고 살기 좋은 명품도시로 탈바꿈할 것이다.
급성심근경색이나 협심증 등으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인 경우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만 잘하면 소생 가능성이 75% 이상이라고 한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2000년 4월18일 잠실야구장에서 롯데 자이언츠 소속 임수혁 선수가 경기도중 심장 부정맥으로 갑자기 쓰러져 인근 병원으로 옮겨 응급처치를 받았으나 9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식물인간으로 살고 있다.
그 당시 전문가들의 진단에 의하면 쓰러진 직후 빠른 심폐소생술을 시행했다면 지금 같은 상황은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그 사고 이후 많이 알려진 응급처치 방법이 심폐소생술(CPR)이다.
인천에서 2008년에 이송한 응급환자 수는 6만5222명이었는데 이들 중 심정지 환자 대부분이 주위에 있는 가족이나 이웃이 심폐소생술을 할 줄 몰라 119구급대가 도착하기 전 응급처치를 실시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폐소생술은 심장마비, 익사 등과 같은 사고시 정상적인 호흡과 순환을 회복시키기 위한 응급처치로 산소부족으로 뇌손상이 오는 최초 4분 이내에 기본적인 심폐소생술과 전기쇼크 치료는 사람의 생사를 가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미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응급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민들에게 심폐소생술에 관한 교육 확산에 힘쓰고 있다.
우리 서에서도 심폐소생술 전담강사를 배치하고 원하는 시민 누구나 체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백번 듣고 보는 것보다 한번 직접 체험해보는 것이 실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누구나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우리 인천시가 현재 세계도시축전을 시행하고 있고, 2014년 아시안게임 등 큰 행사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안전 도시로 자리매김하는 척도인 사고 손상감소는 119 소방공무원들만의 몫이 아닌 우리 모두의 책임임을 인식하고, 전 시민이 심폐소생술을 익혀둔다면 언젠가 기적은 반드시 일어날 것이고 인천은 더욱더 안전하고 살기 좋은 명품도시로 탈바꿈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