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제2청사) 공무원들이 북한지역 황강댐 방류에 따른 임진강 수위 상승으로 발생한 실종자 수색에 직접 나섰다.
도는 지난 6일 사고 발생 당일부터 매일 35명의 일반직 공무원들을 투입해 갈고리와 망원경 등을 이용, 강가 수풀에의 매몰과 물위 떠오름 여부 등을 직접 수색하고 있다.
도 차원의 사고대책 및 지원을 총괄하는 조청식 교통도로국장은 “우리들의 수색활동으로 아직 실종자를 찾아내는 실질적인 성과는 거두지 못했지만, 가족을 잃은 유족의 안타까운 마음을 조금이나마 위로하고 같이하는 자세로 열심히 수색활동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 국장은 "이번 사고의 근본적인 대책으로 국토해양부에 임진강 경보국 운영시스템의 보완과 군남홍수조절지 및 한탄강댐의 조기 완공을 건의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는 자동경보시스템 보강 및 유관기관과의 공조방안을 더욱 공고히 하고, 군남홍수조절지 조기완공에 따른 세부추진계획을 수립, 수자원공사 및 연천군 등 유관기관의 협력체계를 더욱 견고히 해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의정부=김항수 기자hsk@siminilbo.co.kr
도는 지난 6일 사고 발생 당일부터 매일 35명의 일반직 공무원들을 투입해 갈고리와 망원경 등을 이용, 강가 수풀에의 매몰과 물위 떠오름 여부 등을 직접 수색하고 있다.
도 차원의 사고대책 및 지원을 총괄하는 조청식 교통도로국장은 “우리들의 수색활동으로 아직 실종자를 찾아내는 실질적인 성과는 거두지 못했지만, 가족을 잃은 유족의 안타까운 마음을 조금이나마 위로하고 같이하는 자세로 열심히 수색활동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 국장은 "이번 사고의 근본적인 대책으로 국토해양부에 임진강 경보국 운영시스템의 보완과 군남홍수조절지 및 한탄강댐의 조기 완공을 건의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는 자동경보시스템 보강 및 유관기관과의 공조방안을 더욱 공고히 하고, 군남홍수조절지 조기완공에 따른 세부추진계획을 수립, 수자원공사 및 연천군 등 유관기관의 협력체계를 더욱 견고히 해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의정부=김항수 기자hsk@siminilbo.co.kr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