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헌.당규 개정, 걱정 半 기대 半
한나라당이 대통령선거 경선에 국민참여비율을 40%로 하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다.
22일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된 당헌ㆍ당규 개정특위(위원장 황우여 의원)의 ‘당헌 개정안 검토’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특위는 기존 ‘50대50’으로 돼 있는 ‘당원 대 국민’의 경선참여 비율을 조정, 책임당원을 포함한 당원의 참여비율을 기존보다 10%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즉 당심(黨心)대 민심(民心)을 6대 4로 조정하겠다는 것이다.
사실 이명박 대통령을 탄생시킨 한나라당 경선룰은 누가 봐도 엉터리였다.
따라서 잘못된 경선룰을 바꾸는 것이라면 굳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제대로 바꿔야 한다.
우선 국민참여비율을 축소하고 당원의 비율을 늘리는 데 대해서는 찬성이다.
왜냐하면 한 정당의 대통령 후보라면, 적어도 그 정당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인물로 당원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는 인물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민심’을 반영한다고는 하지만 경선투표에 참여하는 사람이나 여론조사 응답자 가운데는 상대 정당 지지자가 끼어 있을 수 있고, 그들은 역투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흠결 없는 강한 후보보다 무엇인가 약점이 많은 후보를 지지해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의 후보에게 유리한 구도를 만들려고 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어쩌면 이명박 대통령의 탄생에는 이런 역투표가 그 효과를 발휘한 때문인지도 모른다.
실제 경선 현장투표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승리했음에도 불구, 어느 정당을 지지하는지조차 알 수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패해 후보 자리를 내어주고 말았었다.
따라서 이런 부작용을 축소하기 위해서라도 민심(民心)반영 비율을 줄이는 게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민심을 어떻게 반영하는가 하는 점 또한 매우 중요하다.
필자는 민심을 반영하는 방법으로 현장 투표를 실시하되 여론조사 방식은 완전히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선 여론조사는 ‘여론조작’이 이루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데다가 엄연히 오차범위라는 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 한나라당 경선에서 이 대통령이 비록 여론조사에서 승리했다고는 하지만 과학적으로 존재하는 오차범위를 감안할 때, 결코 이겼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더구나 여론조사 응답자 한사람을 현장 투표에 참여한 그것보다 무려 6배나 더 쳐 주는 그런 몰상식한 방법이 어디 있는가.
아무튼 그런 엉터리 경선룰로 인해 이 대통령이 탄생한 것만은 틀림없다.
또다시 그런 대통령을 만들어내지 않기 위해서라도 잘못된 경선룰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물론 이 같은 경선룰이 지금은 오히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타의 후보들보다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 전 대표의 입장에서 보자면, 비록 잘 못된 경선룰이라고 하더라도 이대로 가는 게 낫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아닌 것은 아니다.
특히 여론조사는 믿을게 못된다.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하다.
권력을 쥐고 있는 자가 마음만 먹으면 2등 후보를 1등으로 바꾸는 일도 어려울 게 없다.
지난 경선 당시 포털 ‘야후’에서 실시하던 여론조사가 갑자기 사라져버린 경우를 보면, 알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런데 여론조사 기관들이 박 전 대표에게 우호적인가?
아니다. 이런 저런 정황들이 그렇게 말해 주고 있다.
따라서 기왕 당헌당규개정 특위에서 ‘경선룰’을 바꾸는 방안이 나왔을 때, 친박 측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이런 문제들을 제기할 필요가 있다.
다만 걱정되는 것은 혹시 당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경선룰 개정 움직임이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박 전 대표를 견제하기 위한 술수가 아닐까 하는 점이다.
경고하건데 행여 그런 목적이라면, 아서라.
한나라당이 대통령선거 경선에 국민참여비율을 40%로 하향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다.
22일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된 당헌ㆍ당규 개정특위(위원장 황우여 의원)의 ‘당헌 개정안 검토’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특위는 기존 ‘50대50’으로 돼 있는 ‘당원 대 국민’의 경선참여 비율을 조정, 책임당원을 포함한 당원의 참여비율을 기존보다 10%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즉 당심(黨心)대 민심(民心)을 6대 4로 조정하겠다는 것이다.
사실 이명박 대통령을 탄생시킨 한나라당 경선룰은 누가 봐도 엉터리였다.
따라서 잘못된 경선룰을 바꾸는 것이라면 굳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제대로 바꿔야 한다.
우선 국민참여비율을 축소하고 당원의 비율을 늘리는 데 대해서는 찬성이다.
왜냐하면 한 정당의 대통령 후보라면, 적어도 그 정당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인물로 당원들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는 인물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민심’을 반영한다고는 하지만 경선투표에 참여하는 사람이나 여론조사 응답자 가운데는 상대 정당 지지자가 끼어 있을 수 있고, 그들은 역투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흠결 없는 강한 후보보다 무엇인가 약점이 많은 후보를 지지해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의 후보에게 유리한 구도를 만들려고 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다.
어쩌면 이명박 대통령의 탄생에는 이런 역투표가 그 효과를 발휘한 때문인지도 모른다.
실제 경선 현장투표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승리했음에도 불구, 어느 정당을 지지하는지조차 알 수 없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명박 후보에게 패해 후보 자리를 내어주고 말았었다.
따라서 이런 부작용을 축소하기 위해서라도 민심(民心)반영 비율을 줄이는 게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민심을 어떻게 반영하는가 하는 점 또한 매우 중요하다.
필자는 민심을 반영하는 방법으로 현장 투표를 실시하되 여론조사 방식은 완전히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우선 여론조사는 ‘여론조작’이 이루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데다가 엄연히 오차범위라는 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사실 지난 한나라당 경선에서 이 대통령이 비록 여론조사에서 승리했다고는 하지만 과학적으로 존재하는 오차범위를 감안할 때, 결코 이겼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더구나 여론조사 응답자 한사람을 현장 투표에 참여한 그것보다 무려 6배나 더 쳐 주는 그런 몰상식한 방법이 어디 있는가.
아무튼 그런 엉터리 경선룰로 인해 이 대통령이 탄생한 것만은 틀림없다.
또다시 그런 대통령을 만들어내지 않기 위해서라도 잘못된 경선룰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물론 이 같은 경선룰이 지금은 오히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타의 후보들보다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박 전 대표의 입장에서 보자면, 비록 잘 못된 경선룰이라고 하더라도 이대로 가는 게 낫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아닌 것은 아니다.
특히 여론조사는 믿을게 못된다.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하다.
권력을 쥐고 있는 자가 마음만 먹으면 2등 후보를 1등으로 바꾸는 일도 어려울 게 없다.
지난 경선 당시 포털 ‘야후’에서 실시하던 여론조사가 갑자기 사라져버린 경우를 보면, 알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런데 여론조사 기관들이 박 전 대표에게 우호적인가?
아니다. 이런 저런 정황들이 그렇게 말해 주고 있다.
따라서 기왕 당헌당규개정 특위에서 ‘경선룰’을 바꾸는 방안이 나왔을 때, 친박 측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이런 문제들을 제기할 필요가 있다.
다만 걱정되는 것은 혹시 당내에서 나타나고 있는 경선룰 개정 움직임이 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부동의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박 전 대표를 견제하기 위한 술수가 아닐까 하는 점이다.
경고하건데 행여 그런 목적이라면, 아서라.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