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총리의 실언·실언

    기고 / 김유진 / 2009-11-09 17:40:51
    • 카카오톡 보내기
    전지명 친박연대 대변인
    (전지명 친박연대 대변인)

    지난번 필자는 한 정당의 대변인으로서 정운찬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이 국회에서 통과되었을 때, 일단 국정표류를 막았다는 점에서 환영한다는 지지를 보냈다.

    그렇지만 그의 임명에 대한 반대여론도 높았던 사실을 거울로 삼아 총리직이 마지막 공직이라는 각오로 더욱 잘해 주기를 기대한다는 의미의 격려 주문 논평도 낸 바 있다.

    그런데 그동안 총리로서 그가 보여준 행보나 언행은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고 있다 싶어 깊은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우려스러운 것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세종시 관련 실언이다.

    사실 세종시 문제는 정치권이나 국민들에게도 뜨거운 감자이다.

    세종시 법(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특별법)은 바로 앞 정부 때, 엎치락뒤치락 열전을 벌인 후 비로소 여야가 합의해서 제정된 것이다.

    그런 만큼 이 법의 시행은 국회의 대국민에 대한 약속이자 의무이다.

    그런데 정운찬 총리는 이 문제와 관련된 세 가지의 실언을 했다.

    그는 취임도 하기 전부터 이렇다 할 대안도 없이 세종시 법 수정 소신(?)발언을 대갈일성(大喝一聲)하면서 그 법을 원천적으로 무시하고 나섰다.

    미루어 짐작하건대 그는 세종시 문제에 대해 수박 겉핥기식의 상식이나 정보는 있었을지 모르겠지만, 그 구체적인 청사진이나 그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는 잘 모를텐데 어떻게 세종시 해법안(?)을 밑도 끝도 없이 불쑥 갖고 나왔는지 그것이 정말 알고 싶은 의혹이다.

    혹시 천리안(千里眼)이라도 가졌다면 모를 일이지만 참으로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세종시는 정치적 신뢰 이전에 국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사실상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간접 비판하고 나섰다.

    대외적인 국익이라면 몰라도 정치 신뢰가 우선시 되지 않는 대내적인 국익이란 한갓 신뢰감을 잃은 모래성 쌓기식의 허구적 수사일 뿐이다.

    진정한 국익이란 국민의 지지와 신뢰가 전제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또한 더 나아가서 그는 국민과의 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박 전 대표를 직접 설득하겠다고 나선 경우도 있다.

    정치적 경력이 일천한 그가 오랜 정치적 경륜을 지닌 국가 지도자급의 박 전 대표에게 무슨 비장(?)의 카드가 있기에 설득할 수 있다고 했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적어도 그는 ‘설득’이란 발언 대신에 ‘협조를 구해보겠다’라든지 ‘대화를 가져보겠다’라는 정도의 발언이었다면, 어느 누구도 토를 달지 못할 것이다.

    한마디로 그가 보여준 일련의 이런 실언은 세종시 문제 해결에 도움보다는 오히려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당사자는 반드시 알아야만 하리라 본다.

    더욱 공교로운 일은 그가 이번에 대독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에서 그토록 관심을 보였던 세종시 문제에 대해서 일절 언급이 없었다는 것은 어찌보면 그 문제는 자기 선에서 해결을 짓겠다는 자인으로밖에 볼 수 없다.

    일국의 국무총리라면 그 책임이 막중하고 막중하다.

    언행에 표리가 있어서는 안 될 것이고 또 추호의 실수나 실언도 없어야하지 않겠는가.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유진 김유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