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용인 중동에 그린투모로우 견본주택 개관
태양열등 에너지 100% 자체생산 가능… 2013년 적용
태양열과 지열 등 자체생산한 신재생에너지로 외부 에너지 사용 및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로(Zero)화한 친환경주택이 공개됐다.
삼성물산은 9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동백지구)에서 권도엽 국토해양부 차관, 김문수 경기도 지사, 서정석 용인 시장 등 주요 인사와 건설업계 및 환경단체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최초 에너지제로 건축물 ‘그린투모로우(Green Tomorrow)’를 개관했다.
‘그린투모로우’는 68가지의 첨단기술이 적용돼 외부전력 및 화석에너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주택이다. 자연의 빛과 열만으로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하는 만큼 이산화탄소 배출도 없다.
태양광을 최대한 끌어들일 수 있도록 건물 배치를 최적화하고 고성능 단열벽체 및 창호, 고효율 기계 및 전기 설비를 적용했다. 이에 따라 동일 규모의 기존 주택(연간 3만3055㎾h 소비)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56%까지 낮췄다.
나머지 44%는 신재생에너지를 자체 생산해 외부 에너지를 끌어오지 않아도 생활이 가능토록 했다.
현관, 거실, 주방, 침실, 서재, 한실, 복도로 구성된 ‘그린투모로우’에는 모두 68가지 친환경 기술이 적용됐다.
자연채광, 태양광발전, 태양열 급창, 풍력 등 제로에너지를 위한 기술이 34건, 폐기물저감, 친환경 자재 등 탄소배출 제로를 위한 기술이 18건 등이다. 또 생활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RFID(무선주파수인식), 스마트그리드 등 16건의 그린IT 기술도 구현돼 있다.
‘그린투모로우’의 거실에 들어서니 한쪽 벽면이 모두 큼지막한 창호로 구성돼 있는 점이 눈에 띄었다. 통풍과 채광을 위해 가능한 넓게 설치했다는 설명이다.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3중창으로 마감했으며 가정용 냉장고의 단열을 위해 개발된 진공단열보드를 벽면의 단열재로 활용했다.
거실 창호 맞은편 벽면에도 창호가 설치돼 있었다. 단열 성능을 높일 경우 발생하는 환기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통풍을 통한 자연환기를 유도한 것이다.
지열히트펌프시스템은 ‘그린투모로우’의 주요 에너지원중 하나인 지열을 냉난방 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연중 온도 약 15℃를 유지하는 지하 10미터 이하의 지열을 에어컨과 바닥온수난방에 연계해 냉난방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욕실에는 자연채광덕트를 채용, 자연빛을 끌어들여 전등을 켜지 않고도 바깥처럼 환했다. 욕조는 단열재로 보강해 오랜 기간 온수 온도를 유지토록 했으며 양변기는 기존 대비 50%를 절감한 절수형이 설치됐다.
세면대 앞에 서면 홈케어시스템이 자동으로 체중과 체지방 등의 건강정보를 측정해 알려줘 자연스럽게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침실 옷장에는 RFID를 활용한 의류관리 시스템이 구현돼 있었다. 옷을 산 날짜와 세탁 방법, 옷장 안 위치가 출력되며 계절과 날씨에 따라 코디까지 대신해 주었다.
온돌방으로 구현된 한실(韓室)의 바닥은 대나무 소재로 깔았다. 성장주기가 굉장히 빠른 편에 속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같은 이유로 집안 곳곳의 마감재나 가구재료로는 코르크와 재생목재가 쓰였다.
지붕을 들러보니 건물 일체형으로 설계된 태양광전지 모듈이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야간이나 흐린 날 등 태양광 발전이 어려울 경우 이를 대체할 소형풍력 발전기도 마당 한켠에 설치됐다.
지붕 가운데 쪽에는 집열기 내의 동판을 이용해 태양열 에너지를 급탕에 활용하는 태양열 급탕 시스템도 보였다. 지붕의 다른 면에는 옥상녹화 시스템이 갖춰져 있었다. 건물 지붕에 식물을 키우면 단열 성능과 방음효과를 높이고 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 전체에는 직류전원 배전기술이 적용됐다.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생략해 에너지 손실을 줄인 것이다. 또 조명은 고효율 LED 조명기구으로 설치됐다.
삼성물산은 ‘그린투모로우’를 통해 축적한 데이터를 분석해 기술 효율성을 검증하고 공동주택에 단계적으로 적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실제 삼성물산은 단열 및 창호성능을 강화하고 자연에너지를 이용해 냉난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30%까지 줄인 아파트를 공급한 바 있다. 내년부터는 1~3층 저층부와 최상층을 대상으로 냉난방 에너지를 80%까지 줄인 아파트를 시범 공급할 예정이다.
또 2013년부터는 아파트 단지에서도 사용가능한 15~20개 기술을 적용해 냉난방 에너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래미안 아파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현재는 비용 문제가 가장 큰 관건으로 ‘그린투모로우’의 3.3㎡ 시공비는 일반 단독주택보다 2배 이상 비싸다. 그나마도 태양광 발전에서 남는 전력을 충전해 야간이나 장마에 대비한 리튬이온 전지 용량을 하루치 정도로 구비했을 때의 비용이다.
아울러 RFID를 이용한 그린IT기술들은 관련 인프라가 갖춰지기 전까지는 그림의 떡일 뿐이며 태양광 발전의 보조역할을 해주는 풍력발전도 지역적 특성에 따라 효율성이 크게 좌우된다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다.
태양열등 에너지 100% 자체생산 가능… 2013년 적용
태양열과 지열 등 자체생산한 신재생에너지로 외부 에너지 사용 및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로(Zero)화한 친환경주택이 공개됐다.
삼성물산은 9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동백지구)에서 권도엽 국토해양부 차관, 김문수 경기도 지사, 서정석 용인 시장 등 주요 인사와 건설업계 및 환경단체 관계자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 최초 에너지제로 건축물 ‘그린투모로우(Green Tomorrow)’를 개관했다.
‘그린투모로우’는 68가지의 첨단기술이 적용돼 외부전력 및 화석에너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주택이다. 자연의 빛과 열만으로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 생산하는 만큼 이산화탄소 배출도 없다.
태양광을 최대한 끌어들일 수 있도록 건물 배치를 최적화하고 고성능 단열벽체 및 창호, 고효율 기계 및 전기 설비를 적용했다. 이에 따라 동일 규모의 기존 주택(연간 3만3055㎾h 소비)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56%까지 낮췄다.
나머지 44%는 신재생에너지를 자체 생산해 외부 에너지를 끌어오지 않아도 생활이 가능토록 했다.
현관, 거실, 주방, 침실, 서재, 한실, 복도로 구성된 ‘그린투모로우’에는 모두 68가지 친환경 기술이 적용됐다.
자연채광, 태양광발전, 태양열 급창, 풍력 등 제로에너지를 위한 기술이 34건, 폐기물저감, 친환경 자재 등 탄소배출 제로를 위한 기술이 18건 등이다. 또 생활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RFID(무선주파수인식), 스마트그리드 등 16건의 그린IT 기술도 구현돼 있다.
‘그린투모로우’의 거실에 들어서니 한쪽 벽면이 모두 큼지막한 창호로 구성돼 있는 점이 눈에 띄었다. 통풍과 채광을 위해 가능한 넓게 설치했다는 설명이다.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3중창으로 마감했으며 가정용 냉장고의 단열을 위해 개발된 진공단열보드를 벽면의 단열재로 활용했다.
거실 창호 맞은편 벽면에도 창호가 설치돼 있었다. 단열 성능을 높일 경우 발생하는 환기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통풍을 통한 자연환기를 유도한 것이다.
지열히트펌프시스템은 ‘그린투모로우’의 주요 에너지원중 하나인 지열을 냉난방 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연중 온도 약 15℃를 유지하는 지하 10미터 이하의 지열을 에어컨과 바닥온수난방에 연계해 냉난방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욕실에는 자연채광덕트를 채용, 자연빛을 끌어들여 전등을 켜지 않고도 바깥처럼 환했다. 욕조는 단열재로 보강해 오랜 기간 온수 온도를 유지토록 했으며 양변기는 기존 대비 50%를 절감한 절수형이 설치됐다.
세면대 앞에 서면 홈케어시스템이 자동으로 체중과 체지방 등의 건강정보를 측정해 알려줘 자연스럽게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침실 옷장에는 RFID를 활용한 의류관리 시스템이 구현돼 있었다. 옷을 산 날짜와 세탁 방법, 옷장 안 위치가 출력되며 계절과 날씨에 따라 코디까지 대신해 주었다.
온돌방으로 구현된 한실(韓室)의 바닥은 대나무 소재로 깔았다. 성장주기가 굉장히 빠른 편에 속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같은 이유로 집안 곳곳의 마감재나 가구재료로는 코르크와 재생목재가 쓰였다.
지붕을 들러보니 건물 일체형으로 설계된 태양광전지 모듈이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야간이나 흐린 날 등 태양광 발전이 어려울 경우 이를 대체할 소형풍력 발전기도 마당 한켠에 설치됐다.
지붕 가운데 쪽에는 집열기 내의 동판을 이용해 태양열 에너지를 급탕에 활용하는 태양열 급탕 시스템도 보였다. 지붕의 다른 면에는 옥상녹화 시스템이 갖춰져 있었다. 건물 지붕에 식물을 키우면 단열 성능과 방음효과를 높이고 열섬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 전체에는 직류전원 배전기술이 적용됐다.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생략해 에너지 손실을 줄인 것이다. 또 조명은 고효율 LED 조명기구으로 설치됐다.
삼성물산은 ‘그린투모로우’를 통해 축적한 데이터를 분석해 기술 효율성을 검증하고 공동주택에 단계적으로 적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실제 삼성물산은 단열 및 창호성능을 강화하고 자연에너지를 이용해 냉난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30%까지 줄인 아파트를 공급한 바 있다. 내년부터는 1~3층 저층부와 최상층을 대상으로 냉난방 에너지를 80%까지 줄인 아파트를 시범 공급할 예정이다.
또 2013년부터는 아파트 단지에서도 사용가능한 15~20개 기술을 적용해 냉난방 에너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래미안 아파트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현재는 비용 문제가 가장 큰 관건으로 ‘그린투모로우’의 3.3㎡ 시공비는 일반 단독주택보다 2배 이상 비싸다. 그나마도 태양광 발전에서 남는 전력을 충전해 야간이나 장마에 대비한 리튬이온 전지 용량을 하루치 정도로 구비했을 때의 비용이다.
아울러 RFID를 이용한 그린IT기술들은 관련 인프라가 갖춰지기 전까지는 그림의 떡일 뿐이며 태양광 발전의 보조역할을 해주는 풍력발전도 지역적 특성에 따라 효율성이 크게 좌우된다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