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시장이 연초부터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수능 이후 강남과 목동으로 수요가 몰릴 때만 해도 방학시즌 학군수요에 따른 국지적인 상승세로 여겨졌지만 점차 학군에 상관없이 서울 전역으로 상승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23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1월 셋째 주 서울의 전셋값 상승률은 0.20%로 지난해 가을 전세난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으며 서울 전 지역에서 오름세를 이어갔다.
권역별로는 송파구(1.07%)가 4주 연속으로 가장 높은 전세가 상승률을 보이며 무서운 상승세를 이어갔다. 신천역 인근 재건축 신규 입주 아파트 전세가격이 일제히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한 것이다.
전세 물건이 거래된 후 신규 물건에 호가가 더해져도 거래가 이어질 정도라는게 인근 중개업자들의 전언이다.
송파에 이어 서초(0.83%), 강남(0.38%), 양천(0.38%), 용산(0.25%), 성북(0.18%), 서대문(0.17%), 강서(0.17%), 강동(0.16%), 영등포(0.16%), 동작(0.15%) 순으로 하락한 지역 없이 상승세가 지속됐다.
서초구(0.83%)는 모든 면적대가 전세 매물 품귀를 겪을 정도로 전세 인기가 높은 편으로 중·대형을 찾는 수요도 꾸준하다.
서초구의 전세 재계약 주기를 살펴 봤을 때 시기적으로 올해 말이나 돼야 차츰 매물이 나올 것으로 보여 매물 품귀로 인해 전세 매물 구하기는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반포동 자이(주공3단지) 82㎡ 전세가는 4억~4억3000만 원으로 지난주 대비 4000만 원 상승했다.
흑석동 푸르지오의 2월 신규 분양을 앞두고 있는 동작구(0.15%)도 전세매물 부족으로 상승했다.
특히 뉴타운 결정고시 이후 지분 거래와 실거주 유입 수요가 꾸준한 노량진동과 상도동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상도동 래미안상도3차 105㎡ 전세가 전주 대비 500만 원 상승한 2억7000만~3억 원에 거래됐다.
서울 외의 수도권 지역도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다. 신도시(0.15%)는 서울의 전세시장 상승세에 영향을 받아 매수세가 살아났다. 경기도(0.01%)는 지난주 물량 증가에 따른 하락세를 보였던 군포, 강남, 고양이 보합세로 돌아서며 소폭 오름세로 전환됐고 인천(0.04%)도 2주 연속 상승했다.
수능 이후 강남과 목동으로 수요가 몰릴 때만 해도 방학시즌 학군수요에 따른 국지적인 상승세로 여겨졌지만 점차 학군에 상관없이 서울 전역으로 상승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23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에 따르면 1월 셋째 주 서울의 전셋값 상승률은 0.20%로 지난해 가을 전세난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으며 서울 전 지역에서 오름세를 이어갔다.
권역별로는 송파구(1.07%)가 4주 연속으로 가장 높은 전세가 상승률을 보이며 무서운 상승세를 이어갔다. 신천역 인근 재건축 신규 입주 아파트 전세가격이 일제히 오르며 상승세를 견인한 것이다.
전세 물건이 거래된 후 신규 물건에 호가가 더해져도 거래가 이어질 정도라는게 인근 중개업자들의 전언이다.
송파에 이어 서초(0.83%), 강남(0.38%), 양천(0.38%), 용산(0.25%), 성북(0.18%), 서대문(0.17%), 강서(0.17%), 강동(0.16%), 영등포(0.16%), 동작(0.15%) 순으로 하락한 지역 없이 상승세가 지속됐다.
서초구(0.83%)는 모든 면적대가 전세 매물 품귀를 겪을 정도로 전세 인기가 높은 편으로 중·대형을 찾는 수요도 꾸준하다.
서초구의 전세 재계약 주기를 살펴 봤을 때 시기적으로 올해 말이나 돼야 차츰 매물이 나올 것으로 보여 매물 품귀로 인해 전세 매물 구하기는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반포동 자이(주공3단지) 82㎡ 전세가는 4억~4억3000만 원으로 지난주 대비 4000만 원 상승했다.
흑석동 푸르지오의 2월 신규 분양을 앞두고 있는 동작구(0.15%)도 전세매물 부족으로 상승했다.
특히 뉴타운 결정고시 이후 지분 거래와 실거주 유입 수요가 꾸준한 노량진동과 상도동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상도동 래미안상도3차 105㎡ 전세가 전주 대비 500만 원 상승한 2억7000만~3억 원에 거래됐다.
서울 외의 수도권 지역도 모두 상승세를 기록했다. 신도시(0.15%)는 서울의 전세시장 상승세에 영향을 받아 매수세가 살아났다. 경기도(0.01%)는 지난주 물량 증가에 따른 하락세를 보였던 군포, 강남, 고양이 보합세로 돌아서며 소폭 오름세로 전환됐고 인천(0.04%)도 2주 연속 상승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