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은 6일 '불법사금융 및 전화금융사기 특별단속'을 실시해 총 2518명(1359건)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고리사채 등 불법사금융사범은 1428명(667건)이 검거됐다. 세부유형별 검거인원은 불법대부업이 764명(5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사수신 행위(368명·26%) ▲다단계 행위(296명·21%) 등의 순이었다.
금융범죄에 대한 효율적 예방·단속을 위해 금융감독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 수사정보 교류로 단속성과를 극대화했다.
전화금융사기사범은 1090명(692건)이 붙잡혔다.
검거인원 중 중국·대만 등 외국인이 6%를 차지했다. 그러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전화금융사기 발생건수는 43%가 감소했다.
단순 대포통장 제공자 외에 송금·인출책 등을 적극 검거했기 때문이다. 단속활동과 함께 원천적인 피해방지를 위한 법령·제도개선을 병행하고 피해예방 홍보활동을 진행한 것도 요인이 됐다.
경찰은 7월 서울 등 8개 지방청에 '금융범죄 전담수사팀'을 신설해 상시단속체계를 구축, 금융사범에 대해 대응할 방침이다.
또 단속활동과 더불어 금감원·지자체 등 유관기관과의 공조로 금융범죄 근절을 위한 제도개선 및 피해예방을 주력할 예정이다.
이번 단속은 지난 3월1일부터 5월31일까지 실시됐다.
/뉴시스
경찰에 따르면 고리사채 등 불법사금융사범은 1428명(667건)이 검거됐다. 세부유형별 검거인원은 불법대부업이 764명(5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유사수신 행위(368명·26%) ▲다단계 행위(296명·21%) 등의 순이었다.
금융범죄에 대한 효율적 예방·단속을 위해 금융감독원 등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 수사정보 교류로 단속성과를 극대화했다.
전화금융사기사범은 1090명(692건)이 붙잡혔다.
검거인원 중 중국·대만 등 외국인이 6%를 차지했다. 그러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전화금융사기 발생건수는 43%가 감소했다.
단순 대포통장 제공자 외에 송금·인출책 등을 적극 검거했기 때문이다. 단속활동과 함께 원천적인 피해방지를 위한 법령·제도개선을 병행하고 피해예방 홍보활동을 진행한 것도 요인이 됐다.
경찰은 7월 서울 등 8개 지방청에 '금융범죄 전담수사팀'을 신설해 상시단속체계를 구축, 금융사범에 대해 대응할 방침이다.
또 단속활동과 더불어 금감원·지자체 등 유관기관과의 공조로 금융범죄 근절을 위한 제도개선 및 피해예방을 주력할 예정이다.
이번 단속은 지난 3월1일부터 5월31일까지 실시됐다.
/뉴시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