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가 녹색 교통수단으로 떠오르면서 많이 사람들이 자전거 타기에 동참하고 있다. 더욱이 국가 자전거 도로망 구축, 공공자전거 대여시스템, 다양한 자전거 보험출시 등으로 더욱 활성화될 전망으로 보이고 있다.
평소 어린이나 중, 고등학생들이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모습을 많이 볼수 있는데 종종 어린이나 학생 자전거 사고 접수를 받을 때 안타까울 때가 있다. 중·고등학생들은 차와 자전거 사고시 본인이 무척이나 잘못한 줄 알고 죄송하다며 빨리 가려고 하기에 바쁘다.
그런데다가 마음씨 착한 차량운전자를 만나지 않으면 이러한 학생들이 반응에 “그러냐, 괜찮으면 그럼 그렇게 하라”며 유유히 갈 길 가는 상황이 벌어지곤 한다.
자전거 교통사고 뿐만 아니라 차량에 대한 어린이 교통사고 역시 신고 접수를 받다보면 운전자들의 엉뚱한 얘기에는 경찰인 한사람으로 또한 한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화가 치밀 때가 있다.
파출소에 교통사고 자진신고를 할 때의 운전자들의 한결같은 얘기는 “말할 새도 없이 애가 그냥 가더라”며 연락처도 안 주고 병원에도 안 데려가고 경찰에 신고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아동의 보호자를 찾아볼 생각도 안 하고 그 상황만 모면하려고 하는 운전자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 어른들이 약자인 어린이와 청소년을 보호해야 할 사회적 위치에 있지만 1:1로 성인운전자와 청소년이 대면할 때는 과연 얼마나 양심적으로 잘 대하는지 의심스럽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 청소년과 어린이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사고 후 무척 당황스럽고 아무 생각이 안 나겠지만, 이것만은 기억하라! 112신고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운전자의 비양심적 행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고 출동한 경찰관에 의해 명확한 사고원인 분석과 함께 2,3일 후 나타나는 사고 후유증에 대해 추후의 인적피해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소 어린이나 중, 고등학생들이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모습을 많이 볼수 있는데 종종 어린이나 학생 자전거 사고 접수를 받을 때 안타까울 때가 있다. 중·고등학생들은 차와 자전거 사고시 본인이 무척이나 잘못한 줄 알고 죄송하다며 빨리 가려고 하기에 바쁘다.
그런데다가 마음씨 착한 차량운전자를 만나지 않으면 이러한 학생들이 반응에 “그러냐, 괜찮으면 그럼 그렇게 하라”며 유유히 갈 길 가는 상황이 벌어지곤 한다.
자전거 교통사고 뿐만 아니라 차량에 대한 어린이 교통사고 역시 신고 접수를 받다보면 운전자들의 엉뚱한 얘기에는 경찰인 한사람으로 또한 한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서 화가 치밀 때가 있다.
파출소에 교통사고 자진신고를 할 때의 운전자들의 한결같은 얘기는 “말할 새도 없이 애가 그냥 가더라”며 연락처도 안 주고 병원에도 안 데려가고 경찰에 신고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아동의 보호자를 찾아볼 생각도 안 하고 그 상황만 모면하려고 하는 운전자들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 어른들이 약자인 어린이와 청소년을 보호해야 할 사회적 위치에 있지만 1:1로 성인운전자와 청소년이 대면할 때는 과연 얼마나 양심적으로 잘 대하는지 의심스럽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우리 청소년과 어린이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사고 후 무척 당황스럽고 아무 생각이 안 나겠지만, 이것만은 기억하라! 112신고를 해야 한다.
그렇게 해야 운전자의 비양심적 행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고 출동한 경찰관에 의해 명확한 사고원인 분석과 함께 2,3일 후 나타나는 사고 후유증에 대해 추후의 인적피해에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