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서울경찰청 국정감사에서 서울지하철의 성폭행, 소매치기, 폭력 등의 범죄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나라당 김태원 의원은 이날 "서울지하철의 성폭력·소매치기·폭력 등의 범죄가 심각하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이 서울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7년부터 올해 8월 현재까지 서울지하철 내 절도·성폭력·폭력 범죄는 총 7844건이 발생했다. 하루 평균 5.9건의 지하철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범죄유형별로는 폭력범죄가 하루 평균 2.9건, 성폭력범죄가 1.8건, 절도범죄가 1.1건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07년 1878건, 2008년 1994건, 2009년 2284건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올해 8월 현재까지는 1688건이 발생했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서울지하철에서 발생한 범죄는 총 1688건이다. 이 가운데 카메라 폰으로 여성의 은밀한 부위를 촬영하거나 신체접촉을 시도하는 성폭력 범죄가 796건(47.1%)으로 집계됐다. 이 중 2호선에서 가장 많은 458건이 발생했다. 이어 ▲1호선(155건) ▲4호선(88건) ▲국철(32건) 등의 순이었다.
소매치기 등 절도범죄는 351건(20.8%)이 발생했다. 이 중 2호선에서 가장 많은 101건이 발생했으며 국철(111건), 4호선(40건), 1호선(36건) 등이 뒤를 이었다.
폭력범죄는 541건(32.0%)이 발생, 이 가운데 2호선에서 가장 많은 234건이 발생했다. 이어 4호선(124건), 1호선(109건), 3호선(36건) 등의 순이었다.
김 의원은 "서민의 발인 지하철에서 절도와 성폭력 범죄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며 "최대한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일부 시간대에만 역내 CCTV를 운영하는 등 범죄예방을 위한 대책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장세환 의원도 "지하철 이용객 급증과 함께 지하철내 범죄도 증가하는 양상"이라고 우려했다.
장 의원에 따르면 지하철 범죄는 증가하고 있지만 서울시 지하철 수사대는 16곳에 불과하다. 지하철 경찰대 인력도 121명뿐이다.
지하철 범죄를 예방하고 범인은 검거하기에는 경찰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장 의원은 전했다.
장 의원은 "지하철 수사대 인력을 확충하고 순찰업무를 강화하는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며 "특히 여성들을 상대로 한 성폭력 범죄에 대해서는 여성경찰 인력을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유선진당 이명수 의원은 "지하철의 경우에는 내부에 CCTV도 없어 증거확보가 어려워 예방대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며 "유동인구가 많은 역구내, 환승통로 등에 경찰복 근무자를 집중배치해 순찰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