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민(인천 남동소방서 간석119안전센터)
소방공무원들은 업무 특성상 화재 등 각종 재난현장에서 사망사건을 목격하거나 현장활동 과정에서 입는 외상 때문에 심각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보이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소방공무원들이 갖고 있는 외상후 스트레스(이하 PTSD)는 만성적인 것으로 누적된 것이 대부분이다. 각종 사건사고 현장 출동빈도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다가 시민들의 소방공무원에 대한 신뢰와 기대치가 큰 만큼 소방공무원들이 겪는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많아 질 수밖에 없다.
책임의식과 직업상 당연히 해야만 하는 것으로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보니 그로인한 피로와 중압감은 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소방공무원들의 평균 사망연령을 보면 58.8세로 이 역시 어느 정도는 PTSD와 관련이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PTSD가 반복되다 보면 어느 순간 내 본래의 성향이 바뀌어 다른 모습으로 변해 버리며 신경질적인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그 사고에 대한 기억을 회피하는 경우 그것들과 관련된 고통, 두려움, 분노감, 우울, 수치심, 자기비난 등이 지속적으로 삶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PTSD 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자신이 경험한 외상사건을 기억해 내고 노출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면은 당시 느꼈던 공포를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다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인천소방안전본부에서는 인천시 남구에 위치한 사랑병원에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치료와 관련하여 협조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사실상 PTSD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은 없다고 한다. 다만 충격적인 경험이 있었다면 그것을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이야기하고 공유하면서 조금씩 풀어나가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 소방공무원들도 PTSD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할 때이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조기발견과 전문적인 상담으로 좀 더 활력적이고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자.
소방공무원들은 업무 특성상 화재 등 각종 재난현장에서 사망사건을 목격하거나 현장활동 과정에서 입는 외상 때문에 심각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보이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소방공무원들이 갖고 있는 외상후 스트레스(이하 PTSD)는 만성적인 것으로 누적된 것이 대부분이다. 각종 사건사고 현장 출동빈도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에다가 시민들의 소방공무원에 대한 신뢰와 기대치가 큰 만큼 소방공무원들이 겪는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많아 질 수밖에 없다.
책임의식과 직업상 당연히 해야만 하는 것으로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보니 그로인한 피로와 중압감은 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소방공무원들의 평균 사망연령을 보면 58.8세로 이 역시 어느 정도는 PTSD와 관련이 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PTSD가 반복되다 보면 어느 순간 내 본래의 성향이 바뀌어 다른 모습으로 변해 버리며 신경질적인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그 사고에 대한 기억을 회피하는 경우 그것들과 관련된 고통, 두려움, 분노감, 우울, 수치심, 자기비난 등이 지속적으로 삶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PTSD 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자신이 경험한 외상사건을 기억해 내고 노출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무슨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면은 당시 느꼈던 공포를 통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준다는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인천소방안전본부에서는 인천시 남구에 위치한 사랑병원에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치료와 관련하여 협조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사실상 PTSD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은 없다고 한다. 다만 충격적인 경험이 있었다면 그것을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이야기하고 공유하면서 조금씩 풀어나가는 것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 소방공무원들도 PTSD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할 때이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조기발견과 전문적인 상담으로 좀 더 활력적이고 윤택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자.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