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인천시가 경기 고양시까지 뚫린 구제역 차단에 나섰다.
시는 고양시까지 확산된 구제역이 인천지역까지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강화에 이동통제초소 2개를 설치한데 이어 고양시와 인접한 서구와 계양구에 각각 1개씩 모두 4개 이상의 초소를 설치할 것이라고 21일 밝혔다.
현재 인천지역 우제류 가축은 모두 1059호 6만3017두로 이중 소가 2만475두, 돼지가 3만8580두, 사슴 등 기타 유제류 가축이 3962두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 4월말 강화 구제역으로 인해 우제류가축 농가들의 피해가 심각했던 것을 우려해 통행 차량에 대한 긴급 방역작업을 실시하는 등 우제류 가축 농가에 대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시는 특히 우제류 가축 농가 주민들을 대상으로 외지인 방문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구제역 예방을 위한 각종 홍보를 벌이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구제역이 인천과 인접한 고양시까지 뚫리면서 긴급 이동통제초소를 설치하는 등 우제류 가축 농가에 대한 예방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며 "구제역 예방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월 구제역 발생으로 소 7640두, 돼지 2만3437두, 사슴 등 기타 가축 268두 등 모두 3만1345두가 살처분됐다.
인천=문찬식 기자mcs@siminilbo.co.kr
시는 고양시까지 확산된 구제역이 인천지역까지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강화에 이동통제초소 2개를 설치한데 이어 고양시와 인접한 서구와 계양구에 각각 1개씩 모두 4개 이상의 초소를 설치할 것이라고 21일 밝혔다.
현재 인천지역 우제류 가축은 모두 1059호 6만3017두로 이중 소가 2만475두, 돼지가 3만8580두, 사슴 등 기타 유제류 가축이 3962두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 4월말 강화 구제역으로 인해 우제류가축 농가들의 피해가 심각했던 것을 우려해 통행 차량에 대한 긴급 방역작업을 실시하는 등 우제류 가축 농가에 대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시는 특히 우제류 가축 농가 주민들을 대상으로 외지인 방문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구제역 예방을 위한 각종 홍보를 벌이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구제역이 인천과 인접한 고양시까지 뚫리면서 긴급 이동통제초소를 설치하는 등 우제류 가축 농가에 대한 예방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며 "구제역 예방을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4월 구제역 발생으로 소 7640두, 돼지 2만3437두, 사슴 등 기타 가축 268두 등 모두 3만1345두가 살처분됐다.
인천=문찬식 기자mcs@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