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심장충격기, 진열이 아니라 사용하여야 할 때!

    기고 / 진용준 / 2011-04-24 21:43:00
    • 카카오톡 보내기
    김정민(인천강화소방서 내가119안전센터)

    김정민(인천강화소방서 내가119안전센터)


    여러분은 ‘자동심장충격기(AED/자동제세동기)’를 알고계신가요?

    “전기충격 준비해!!”
    “네 선생님” “200J(줄) 충전되었습니다.”
    “모두 떨어져! shock!”
    “삐~~”

    영화나 드라마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장면이다.

    하얀 가운을 입은 의사가 심장이 멈춘 환자를 살리기 위해 전기충격기로 환자의 가슴에 충격을 준다.

    혼신의 힘을 다하였지만 안타깝게도 내가 좋아하는 주인공은 사망하고 만다. ‘살릴 수 없었을까..’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러나 더욱 안타까운 일은 우리의 현실이다.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이 40%에 달하는 미국과, 15%이상인 다른 나라들에 비해 우리나라의 심정지 환자의 생존률은 4.6%에 그쳐, 100명 가운데 5명 정도만 살아나는 것으로 나타나 적지 않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해결책은 없을까..?

    해답은 바로 가족, 목격자, 신고자에 의한 신속한 처치(심폐소생술)와 자동심장충격기 적용의 선행에 있다.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경우 매분 생존확률은 7~10%씩 낮아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골드타임’으로 불리우는 4분이 지나면 회복불능의 상태로 점점 가까워진다. 심 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빠른 응급조치가 필수적이지만, 119신고 후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5분여가 걸리며, 상황에 따라 5-10분 정도가 소요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4분이 지나면 회복불능의 상태로 가는 나의 가족, 이웃을 앞에 두고 마냥 119가 빨리 와주기만을 기다릴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심폐소생술 ? 자동심장충격기 적용에 임해야 한다는 것이다

    심폐소생술(CPR)은 일반시민들도 직장이나 지역사회의 교육 혹은 뉴스의 심폐소생술 사례보도 등으로 낯설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자동심장충격기’를 보았거나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 것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의 대부분도 그러하리라 생각된다.


    그렇다면 ‘자동심장충격기’란 무엇일까? 우리의 심장은 미세한 전기자극에 의해 온몸의 혈액을 받아들이고 는 펌프작용을 하는데 급성심정지환자 심장의 상태는 불완전한 전기자극으로 인해 심장의 근육이 미세하게 떨리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하여 전기자극을 주게되면 순간적으로 심장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시키고 이를 통해 다시 혈액이 원활히 흐를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심장충격기를 급성심정지 발생환자에게 4분이내 처치할 경우 생존율을 80%까지 높일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우리의 생명을 구하는 기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산의 부족, 교육과 홍보의 부족, 잘못 사용하면 불이익이 있을꺼라는 인식 등으로 일반인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가고 심지어 자동심장충격기가 설치된 기관에서 마저 자물쇠로 잠궈 두는 등 값비싼 장식물로 전락해 버려 빛이 바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바뀌어야 할 때이다!

    이제는 자동심장충격기를 알고! 알리고! 행동하여야 할 때이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선진국과 같이 선한 사마리안법(구조자 보호법)에 해당하는 ‘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 조항이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입법되었고 그러므로 심정지를 목격한 일반 시민이 선의로 심폐소소생술을 시행하거나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한 경우 이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에 대한 면책권을 가진다.

    이러한 사항과 설치장소 등을 널리 알리고 지역교육의 참석, 기관의 심폐소생술 ? 자동심장충격기 교육신청 등을 통해 자동제세동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알고! 그리하여 혹시 모를 나의 가족, 나의 이웃의 사고에 적극적으로 행동하고 사용하여야 할 때이다.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와 홍보는 일반시민 스스로 서로의 생명을 보호하는 지역사회 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의료계, 소방조직, 민간단체, 일반 시민 등이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진용준 진용준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