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26일 오전 4시께 서울시내 대형병원에 원인불명의 폐렴으로 입원했던 A(36·여)씨가 숨졌다고 밝혔다.
이날 사망한 A씨는 보건당국이 잠정 결론 내린 '급성간질성 폐렴'으로 이 병원에서 입원했던 7명의 산모 가운데 1명이다.
지난 10일 처음 사망한 산모와 마찬가지로 A씨는 초기 기침과 호흡곤란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가 폐가 딱딱하게 굳어지는 '폐 섬유화' 진단을 받았다.
A씨는 지난 달 21일 이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뒤 한 달 만에 사망했다.
특히 그는 질병관리본부의 검체 검사에서 유일하게 '아데노바이러스 53형'이 분리됐던 환자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는 이 아데노바이러스가 질병을 유발한 병원체로 확정할 수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DNA 검사를 통해 유전자 변형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이달 초부터 전국 43개 대학병원에서 급성 간질성 폐렴 환자 추가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본부에 따르면 이 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4명의 환자 가운데 2명은 폐이식 수술을 받고 회복 중이다. 나머지 1명은 위중한 상태에서 폐 이식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병국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장은 "중증질환으로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다 회복이 되지 않아 사망한 사례일 뿐"이라며 "전염될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가족과 환자들이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뉴시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