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이 80%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해 11월 79.2% 이후 7개월만에 처음이다.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이 지난 7월 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 낙찰가율을 조사한 결과 서울 79.8%, 경기79.2%, 인천 75.9%를 기록했다. 지난 2010년 11월 이후 7개월 만에 낙찰가율 80%대가 무너진 것이다.
버블세븐(강남, 서초, 송파, 목동, 분당, 평촌, 용인) 지역도 78.8%에 그쳐 아파트 경매시장의 가격조정이 수도권 전반에 걸쳐 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2002년 이후 대체적으로 80% 이상을 유지했으나 양도세 중과, 실거래가 과세 등 부동산 규제가 집중되던 2004년 7월~2005년 3월,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0월~2009년 4월, DTI규제가 수도권 전역에 적용된 이후 주택거래가 침체에 빠졌던 2010년 5월~2010년 11월 등 세 차례에 걸쳐 80% 아래로 떨어졌다.
면적별로 하락폭에 차이를 보였다. 전용면적 85㎡을 넘는 중대형 아파트의 낙찰가율은 76.7%를 기록했지만, 85㎡ 이하의 중소형 아파트들은 82.8%를 기록했다.
실제 감정가 6억1000만원의 서울 성북구 길음뉴타운 대우푸르지오아파트 114.8㎡은 70.5%인 4억2999만원에 매각됐고, 전용면적 150㎡의 용산시티파크 아파트도 감정가 대비 74%인 14억원 대에 매각됐다.
인천에서는 감정가 29억7500만원인 송도더샵 퍼스트월드 아파트(전용면적 245㎡)가 65.6%인 19억5300만원에, 경기도에서는 감정가 3억6000만원인 김포 풍무동 서해아파트(전용면적 134.6㎡)가 59%인 2억1299만원에 낙찰됐다.
이 때문에 이달 말 정부가 발표할 세제개편안에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 폐지가 포함될지 주목된다.
남승표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 80% 붕괴가 추세의 반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정책 환경의 변화 없이 시장 자체적으로 반전의 계기가 마련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