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천왕역 광역환승센터' 오픈

    기획/시리즈 / 주정환 / 2011-12-21 13:14:00
    • 카카오톡 보내기
    녹색 주차장 330면 조성...시흥·광명서 서울 출퇴근 편해진다
    460대 규모 자전거 보관소도 설치
    식음료점·전시장등 문화공간도 갖춰
    에너지 절감 '녹색원' 조성 지열방지
    [시민일보]이달부터 경기도 시흥, 광명 등 수도권 남서부지역에서 서울 도심으로 진입하는 승용차 이용자가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서울시(도시교통본부)가 지하철 7호선 '천왕역 광역환승센터'를 지난 20일 오후 5시부터 개관했기 때문이다.
    이 환승센터는 지난 5월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환승센터 개관 이후 서울 시내 두 번째 광역환승센터다.
    환승센터는 전철?지하철이 교차하거나 간선 교통망이 집중되는 지점에 조성되어 자가용을 주차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해 도심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조성된 시설이다.
    구파발역 환승센터가 수도권 서북지역 시민들을 도심으로 진입하기 편리하게 만들었다면 이번 천왕역 광역환승센터 조성은 시흥?광명 등 서울 남서부지역 시민들이 기존보다 훨씬 편리하게 도심으로 들어올 수 있기 위해서다.
    따라서 환승센터는 퐁 330면 규모의 주차장과 458대 규모의 자전거 보관소를 갖췄으며 식음료점 등 생활 편의시설을 설치했다.
    특히 지열방지와 에너지 절감효과를 위한 녹색원을 조성했으며 전시회나 장터 등이 열릴 수 있는 문화공간도 갖췄다.
    또한 서울시 대중교통환승체계 구축 종합계회에 따라 올해 완공된 구파발역과 천왕역 광역환승센터에 이어 내년 개화역과 도봉산역에 추가로 광역환승센터가 완공될 경우 도심 내 교통 혼잡 완화와 승용차 이용률 감소로 인한 서울 도심 대기질 개선이 극대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시민일보>는 최근 개관한 천왕역 광역환승센터의 규모와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주차, 자전거보관, 시민편의 시설로 구성…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돼
    천왕역 광역환승센터는 지난 해 7월 공사에 착수해 올해 12월 준공됐으며 총 면적 12,834㎡, 지하2층~지상3층으로 구성됐다.
    광역환승센터는 총 330면(일반 35면, 확장형 192면, 여성 우선 67면, 경형 22면, 장애인 10면)의 주차장과 458대 규모의 자전거 보관소가 설치됐으며 식음료점, 일반 소매점 등 생활 편의시설도 조성된다.
    특히 지하 2층 ‘천왕역’ 대합실로 직접 연결되는 지하연결통로가 조성돼 있어 주변 공사가 마무리 되는 내년 3월부터는 환승센터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환승센터 지붕층(1,330㎡)에는 지열방지와 에너지 절감효과를 위해 다양한 식물을 식재해 '녹색원'을 조성했으며 천왕역 주변을 조망하는 휴식공간과 다목적 이벤트광장이 마련돼 각종 전시회나 벼룩시장 등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차전용건물과 연결된 지상 2개 층(379㎡)의 별도의 시설에는 패스트푸드, 커피전문점, 생활용품 전문점 등이 입점해 시민들의 편의를 충족시켜 줄 예정이다.
    이 시설에 대한 이용은 개관 당일부터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된다.
    구파발역 환승센터와 마찬가지로 시간제주차의 경우 10분당 200원, 월정기권의 경우 일반주차는 6만5000원, 환승주차는 4만원이며 월정기권은 서울시시설관리공단 공영주차장 홈페이지(http://parking.sisul.or.kr)에서 신청할 수 있다.
    환승센터 효과 체계적으로 연구해 향후 조성에 반영해 나갈 계획
    서울시는 구파발역과 천왕역의 환승센터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요분석 등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앞으로 조성될 환승센터 건립에 반영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환승센터는 지난 2007년 10월 수립된 ‘서울시 대중교통환승체계 구축 종합계획’에 따라 조성됐다.
    올해 구파발역 광역환승센터와 천왕역 광역환승센터 등 2개 환승센터가 조성된데 이어 내년 2월 9호선 개화역 광역환승센터, 12월 7호선 도봉산역 광역환승센터 준공을 앞두고 있는 상태다.
    서울시는 천왕역 광역환승센터가 조성되어 환승기능 뿐만 아니라 시민 생활 편의 제공, 도심 내 교통 혼잡 완화, 승용차 이용률 감소로 인한 대기질 개선 등 다양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주정환 주정환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