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파트의 준공실적은 4.9% 감소한 반면 단독, 다가구, 연립 등 다른 주택유형 준공은 일제히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지난해 1~11월 전국 주택 준공실적을 정리한 결과에 따르면 다세대주택의 경우 5만3057가구가 사용승인을 받아 전년동기 대비 63.4% 증가했다.
이어 연립주택이 같은 기간 2800가구에서 4088가구가 준공돼 뒤를 이었으며 다가구(11만8033가구)와 단독주택(3만941가구)도 18%, 7.8%씩의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아파트(19만6526가구)만 전체 주택 유형 중 유일하게 준공물량이 1만219가구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아파트 외 주택의 준공비중은 2010년 44.2%에서 2011년 51.2%로 7%포인트 증가했다. 준공실적은 현재 주택 공급동향을 한눈에 보여주는 지표로 아파트 외 주택으로 주거선호양상이 다변화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지역별로 아파트 외 주택유형 비율이 50%를 넘어 선 곳은 주로 지방이었으며 강원(78.8%), 충북(76.2%), 전북(70%)은 70%대를 넘어섰다.
반면 서울(43.3%), 인천(33.8%), 경기(36.3%) 등 수도권은 아파트 공급이 주를 이뤘다.
다가구와 다세대 주택은 최근 1~2인 가구 증가와 전셋값 급등에 따른 불안으로 내집마련 수요가 늘어 대안으로 활용하는 수요가 늘면서 자연스레 준공실적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은 “지난해말 종료예정이던 다세대·연립·도시형생활주택 등에 대한 저리 건설자금 지원이 1년 연장돼 올해도 다가구와 다세대 건립열기가 이어질 것”이라며 “다만 다세대 등은 아파트에 비해 주거여건이 열악한 편이라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