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을 집계한 결과 전국에서 55만가구가 인허가됐다고 24일 밝혔다.
2010년(38만7000가구) 대비 42.2% 증가했으며, 최근 3년(2008년~2010) 대비 44.7% 증가했다.
지방에서는 아파트 신규 분양이 호조를 보이는 등 시장 활성화에 힘입어 18만1000가구가 인허가됐다. 2010년과 비교하면 126.8% 증가했다.
수도권에서는 도시형생활주택, 다세대, 다가구 등에 대한 건설자금 지원 및 건설규제 완화 등에 따라 도심내 소형주택 건설이 2010년 대비 110.1% 증가했다.
민간부문은 중소형과 지방 위주로 공급이 큰 폭으로 증가해 2010년(24만8000가구) 대비 74.9% 증가한 43만4000가구가 인허가됐다.
공공부문에서는 LH 자금난 및 사업조정 등으로 2010년(13만8000가구) 대비 16.6% 감소한 11만5000가구가 인허가됐다.
이 중 분양주택이 5만6000가구(공공주택 중 48.7%), 임대주택이 5만9000가구(51.3%) 인허가됐다.
보금자리주택 공급물량은 총 12만6000가구로 집계됐다. 11만4000가구가 신규 공급(신규사업승인 9만8000가구, 매입 1만6000가구)됐으며, 종전에 사업승인을 받았으나 보금자리주택으로 변경승인(전환지구 재설계)된 1만2000가구가 보급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도 안정적인 주택건설을 위해 분양가 규제 개선, 주택건설기준 개편 등 민간건설 활성화를 위한 규제완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