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편집국장 고하승
앞서 필자는 이번 4.11 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최소 130석에서 140석을 차지해 원내 1당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현재 상황을 분석해 보면, 전체 지역구 246개 가운데 새누리당이 후보를 내지 않거나 민주통합당 등 야당 후보에게 열세를 보이고 있는 지역은 100여 곳이고, 새누리당 후보가 우세한 지역은 110여 곳이다. 나머지 30여 곳은 여야가 오차범위 내에서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필자가 전망한 것처럼 새누리당이 제 1당이 될 것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어 보인다.
당초 새누리당 내부에서 ‘100석 만 건져도 다행’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왔던 것에 비하면 대단한 변화가 아닐 수 없다.
한마디로 정권 심판론으로 고전을 면치 못했던 새누리당의 4·11 총선 지지도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대체 민심은 왜 새누리당을 향하고 있는 것일까?
물론 공천 과정에서 민주통합당의 잘못이 새누리당에 비해 훨씬 많았다. 그리고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 과정에서 여론조작 사건이 불거지는 등 야당에게 졸발적인 악재가 발생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 등 새누리당을 괴롭히는 악재가 오히려 더 많았다.
그럼에도 새누리당 지지율이 상승세를 타고 있는 것은 ‘박근혜 효과’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박근혜 효과’의 위력은 어느 정도일까?
MBC가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사흘 동안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와 함께 전국 지역구 가운데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접전지역 11곳을 선정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그런데 종로구에서 믿기지 않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새누리당 홍사덕 후보가 51.3%, 민주당 정세균 후보가 39.6%로 두 후보 간 격차가 무려 11.7%포인트에 달했다. 이는 오차범위가 95% 신뢰수준에 ±2.7%P인 점을 감안하면, 압도적인 차이가 아닐 수 없다.
사실 종로구에서 대해서는 각 여론조사 기관이 그동안 10여 차례에 걸쳐 여론조사를 실시했었다.
홍 의원이 앞선 경우도 있었고, 때로는 정 의원이 앞선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그 격차는 모두 오차범위 내여서 그 누구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웠다.
그런데 이번 조사에서는 홍 의원이 오차범위를 훨씬 벗어나 압도적으로 앞선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리얼미터 이택수 대표는 2일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박근혜 위원장이 종로를 방문했던 상황에서 조사를 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즉 홍 후보와 정 후보가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에서 박 위원장이 종로를 방문했기 때문에 두 후보 간 격차가 10% 이상 벌어졌다는 뜻이다.
물론 일순간의 현상일 수는 있지만, 만일 이게 ‘박근혜 효과’라면 그 효과는 대단한 것이다.
이른바 낙동강 벨트의 민심도 크게 요동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투데이가 ‘한백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9~30일 부산 지역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박 위원장의 부산 방문 효과로 인해 부산 북·강서을에서 열세를 보였던 새누리당 김도읍 후보는 47.4%의 지지를 얻어 민주당 문성근(42.0%) 후보를 역전했다.
옆 지역구인 사상에서도 민주당 문재인 후보 51.1%, 새누리당 손수조 후보 41.1%로 양 후보 간 격차가 상당 부분 좁혀졌다.
특히 적극 투표층에서는 새누리당의 지지도가 더욱 상승해 문 후보와 손 후보 사이의 지지도 격차가 3.7% 포인트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한백리서치 김남수 대표는 “박근혜 선대위원장의 전국적인 지원유세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쯤 되면 민주당 등 야당이 ‘박근혜 효과’를 두려워하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과연 이런 선거가 바람직한지는 의문이다.
박근혜 말고는 내세울 것이 없는 새누리당도 한심하거니와, 박풍(朴風, 박근혜 바람) 앞에 추풍낙엽이 될 수밖에 없는 야당도 한심하기는 마찬가지다.
무엇보다도 걱정스러운 부분은 예상되는 ‘국민의 피로도’다.
박 위원장의 이 같은 활약이 총선에서 새누리당 후보들을 살리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국민 피로도로 인해 정작 자신의 선거인 대통령 선거에서는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박근혜 효과’와 ‘국민 피로도’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이 필요한 시점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