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대선 경선룰 변경 문제로 갈등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2-04-24 12:24:00
    • 카카오톡 보내기
    친박계 “대권주자들이 맘대로 못정해...당헌당규 따라야”
    비박계 “국민 정서에 맞지 않으면 경선룰 바꿔야 한다”
    [시민일보] 24일 새누리당 대통령후보 경선룰 변경문제를 놓고 친박계(친 박근혜)와 비박계(비 박근혜)가 갈등을 빚었다.

    정몽준 이재오 의원과 함께 비박계 대권주자로 분류되는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2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당내 경선에 완전국민참여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주장했지만,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강원도를 방문한 자리에서 “선수가 룰에 맞춰 경기해야 된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바 있다.
    김성태 의원은 이날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에 출연, "국민들이 룰이 국민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얘기하면 바꿔야 한다"고 ‘경선룰 변경’을 주장했다.

    김문수계 김 의원은 먼저 박근혜 추대론에 대해 “말도 안된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대통령 경선은 역동적이고 활력 있게 나가야 한다”며 “추대론은 더 이상 논의돼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새누리당에는 대선경선의 절차를 규정한 당헌당규가 있다. 누구라도 그 당헌당규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박근혜 위원장에 맞서 김문수 지사, 정몽준, 이재오 의원 등의 연대 가능성이 거론되는 것에 대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며 “이 사람들이 중도에 포기한다면 별 의미가 없지만, 포기하지 않고 막판까지 가다가 분명 연대를 할 것이다. 비박연대라는 결정적인 연대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그렇게 된다 하더라도 비박연대 자체가 박 위원장에게 위협적으로 다가가진 못할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박근혜 비대위원장도 당헌당규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MB 정권 심판론에 대해 “집권여당이라면 이미 그 자체로서 MB정부의 국정운영 실패라든지, 부정비리 어느 것 하나도 비켜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남아있는 MB정부의 임기동안 거만하다라든지, 일방통행식의 국정운영을 하게 된다면 바로잡아야 하는 것이고, 측근인사의 부정비리가 있다면 발본색원해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의원은 김 지사가 ‘완전 국민참여경선’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당내 경선을 희망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어떤 형태로든지 경선룰에 대해서 이야기 할 수 있다”며 “당헌당규에 규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첫째도 둘째도 국민들의 정서에 맞게 고민하고 그 목소리들을 점검해야 한다”고 공감을 표했다.

    이어 “국민의 정서를 반영해서 기존의 당원당규 선출방식으로 갈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완전국민경선제로 갈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친박계 김재원 당선자는 같은 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김 지사 완전국민참여경선을 요구하는 데 대해 “완전국민참여경선을 받아들이거나 안 받아들이거나 하는 것을 대권주자들이 맘대로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우리 당의 당헌당규에 규정돼 있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김 당선자는 또 “과거 여러 번 논의를 해서 결국 이것이 지켜질 수가 없고, 불합리한 제도라는 판단아래서 지금까지 못하고 있는 것이지, 이것이 최고의 미덕이고, 이것이 최고 합리적인 제도라면 우리 당이 지금까지 하지 않았을 리가 없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완전국민경선을 여야가 한날 실시하면 이른바 역선택이라는 부작용은 줄일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여야협상이 수차례 있었지만 결국은 되지 않았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후보단일화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에 야당 측에서 이것을 받아들일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며 “만약에 완전국민경선제를 해버리면 호남의 대부분 유권자들이 우리 새누리당 경선에 참여하지 않고 민주통합당 경선에 가버린다. 영남지방에서는 민주통합당 경선에 참여하지 않고 우리 새누리당 경선에 참여한다면 정당의 꼴이 뭐가 되겠느냐”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그냥 세몰이를 하게 되면 지난 총선 때 불거졌던 동원선거, 더 나아가서 선거운동원이나 구청장이나 이런 분들이 자살을 한다든가 그런 일까지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정치형태에서 비합리적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그것이 합리적인 양 주장하면서 결국은 본인들의 정치적 이익을 달성하려는 그런 시도는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