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시민일보] “현재 50대 50인 국민참여와 당원참여 비율을 100%국민경선으로 하면 정당정치의 기본을 흔들게 된다.”
새누리당 이한구 원내대표는 이날 KBS-1TV '일요진단'에 출연, 정몽준·이재오·김문수 임태희 등 이른바 비박계 대선경선후보들이 주장하고 있는 완전국민경선제 도입에 대해 이같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원내대표는 또 "100%국민경선을 하면 당원의 존재가 없어지며 대의정치의 원칙에도 맞지 않는다"면서 "자칫하면 반대당한테 역선택을 당해 오히려 우리한테 필요한 후보가 흠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원내대표는 이재오 의원 등 새누리당에 일각에서 제기되는 개헌요구와 관련, "개헌은 정치권에서 하는 게 아니고 국민이 원해야 된다"면서 "국민이 대다수가 특히 거의 과반수 정도가 아니라 상당수가 이것을 원해야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분위기가 만들어져 있을 때 그때 하는 것”이라며 “정치권이 주도해서 하는 것은 실현 가능성도 낮고 또 지금 민생문제가 너무 깊고 넓게 확산돼 있기 때문에 우선과제는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한편 이 원내대표는 민주통합당과의 19대 원구성 협상과 관련, "그 동안 의석수를 비례해서 해왔던 관행이 있으니 그 관행을 존중해야한다"고 ‘관행’을 강조했다.
현재 19대 국회 정당별 의석수는 새누리당 150석, 민주당 127석, 통합진보당 13석, 자유선진당 5석, 무소속 5석이다. 교섭단체 의석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전체 18개 상임위 중 새누리당이 10~11개, 민주당이 7~8개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민주당은 통합진보당등 다른 야당과 의석수를 합할 경우 야당이 더 많기 때문에 상임위를 반분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이 원내대표는 ‘관행’이라는 말로 이같은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그는 또 야당에서 법사위, 문방위 등 핵심 상임위원장을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여당도 똑같이 중요하기 때문에 협상을 해야 한다"고 잘라 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