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강현(인천남부경찰서 도화지구대 순경)
요즘 같은 시대엔 맞벌이를 하는 가족이 많이 늘었다. 그러다 보니 각 가정에서는 아이들을 어린이 집에 맡기는 경우가 늘면서 우리는 종종 어린이집의 문제점들을 종종 언론이나 방송매체에 통해서 보고 접하지만 이번에는 통학버스에 대해 얘기해 볼려고 한다.
얼마 전 한 어린이는 집 앞에 도착했는데 그만 바퀴에 깔려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듯이 이렇게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통학버스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아야 된다.
현행 도로교통법에서는 13세미만 어린이를 태운 통학버스는 통학버스를 관할 경찰서에 신고를 하고 보육자와 동승하거나 동승자가 탑승하지 않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직접 차문을 열고 닫으며 승하차를 도와주도록 되어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접할 수 있다. 또한 일부 통학버스는 동승자가 없거나 안전조치를 취하는 않는 경우 또는 사고차량은 통학버스로 등록도 되어 있지 않는 등 문제점이 노출되어 있다.
해마다 어린이 통학버스의 사고건수는 적게는 200여건 많게는 400여건에 이르고 목숨을 잃는 경우는 10여명에 이른다. 예를 들면 승용차와 충돌을 하거나 문을 잠그고 자는 어린이를 보지 못하고 방치되면서 탈수증을 동반한 질식사 등 일어났다. 이처럼 차량 안전사고에 대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국토해양부에서 관리하는 인원으로는 전국의 21만대에 이르는 학원차량을 일일이 감독하기는 어려운 부분과 근로조건 등 분명 우리가 알지 못하는 부분에서 애로사항이 있더라도 우리의 아이들을 위해 좀 더 신경을 써서라도 해당 부처와 관계기관 등이 더욱더 안전교육과 규정들에 세심한 관심을 가져서 차량 안전사고에 대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부분 등을 관련규정을 그때마다 보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전에 우선 관련규정을 준수하고 지키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통학버스의 관련된 법규와 안전수칙 등을 어린이 기관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어린이들을 상해로 홍보교육을 실행하고 또한 일반운전자들에게도 홍보를 함으로써 내 아이만 생각하지 말고 5월은 가정의 달이듯이 우리 모두 우리 아이 같이 생각을 하고 가정을 위해 다시 한 번 되돌아보고 마음을 다짐해 보면 통학버스의 사고는 어른들의 안전불감증과 안일한 정신으로 인해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 나가면 좋을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