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대권 도전을 선언한 박근혜 새누리당 예비후보가 11일 향후 정부 운영방향을 제시했다.
박 후보는 이날 오전 대전 정부통합전산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브리핑을 통해 "정부운영의 핵심가치는 공개·공유·소통·협력이 돼야 한다"며 "정부의 미래 패러다임은 개인별 맞춤행복을 지향하는 정부 3.0시대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박 후보는 "정부의 미래 패러다임의 지향점으로 일방향의 '정부 1.0' 시대를 넘어 쌍방향의 '정부 2.0' 시대를 구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행복'을 지향하는 '정부 3.0'시대를 달성해야 한다"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투명한 정부 ▲유능한 정부 ▲서비스 정부 등 3가지 실천과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투명한 정부와 관련, "정부가 하는 모든 일을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며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될 때 정부에 대한 신뢰가 쌓일 수 있고 그래야 국민통합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유능한 정부에 대해서는 "과거의 추격형 모델에서 선도형 모델로 바꿔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보다 많은 지식을 창조·축정·공유함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선도하는 정부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비스 정부와 관련해서는 "국정의 중심에 국민을 놓고 국민 한분 한분의 필요와 요구를 해결해야 한다"며 "모든 정책이 공급자인 정부 중심에서 수요자인 국민 맞춤형으로 바꿔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그는 수요자 중심의 정부를 만들기 위해 "부처간 칸막이를 허물고 정보를 통합해야 국민 누구나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원스톱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박 후보는 투명하고 유능한 서비스 정부를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공개 대폭확대 ▲공공정보의 개방 ▲정부내 협업시스템 구축 ▲정부와 민간의 협업확대 ▲정부 지식경영시스템 구축 ▲맞춤형 서비스 정부구현 ▲국가미래 전략센터 구축 및 운영 등 7대 약속을 제시했다.
박 후보는 공공정보가 개방될 경우 연간 5조3000억원의 시장과 최대 42만개의 1인 창조기업이 창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편 대선출마를 공식 선언한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날 출마 선언 이후 첫 지방 행선지로 충청권을 찾은 것은 대선의 캐스팅보트, 대선판세의 바로미터 등으로 불리는 충청 표심을 공략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