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민주통합당이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방식을 두고 진통을 겪고 있다.
당초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이 내놓은 방식은 예비경선을 통해서 5명의 후보를 추려내고, 그 이후에 전국 13개 권역을 순회하면서 완전국민경선제를 실시한다는 것.
이에 대해 당내 1위 주자인 문재인 예비후보가 동의를 했으나, 김두관 손학규 정세균 등 다른 후보들은 ‘이 경선룰에 동의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히며, 결선투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민주통합당의 추미애 대선후보경선준비기획단장은 17일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현장투표와 모바일투표를 결합한다면 그 비중이 어떻게 되느냐’ 하는 질문에 “비중은 알 수가 없다. 투표소에 가서 투표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얼마가 될지 예측할 수 없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는 당내 일각에서 현행 룰은 “당심과 민심이 아닌 ‘모발심’에 의해 후보가 선출될 수도 있다”는 지적을 사실상 시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추 단장은 또 김두관 손학규 정세균 등 이른바 ‘비문(비 문재인) 3인방’이 제안한 결선 투표에 대해 “당헌에 결선투표를 명문으로 금지한 건 없다”면서도 “그런데 현실적으로 대단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고 난색을 표했다.
이어 그는 “제가 경선기획단장을 맡은 이후에 직접 출마 선언한 후보들을 차례대로 만나서 ‘건의하실 것이 있으면 언제든지 얘기해주시라’는 당부를 각별하게 드린 바가 있다”며 “이렇게 다 설계가 끝난 마당에 뒤늦게 주장을 하신 측도 정치적 책임을 지셔야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순회하는 방식의 국민경선제는 준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차질 없이 진행되어야만 돼서 예정된 순서에 따라서 내일 (결선투표 실시여부를)확정 짓겠다”고 단호한 입장을 피력했다.
추 단장은 최고위원회 결정을 일부 후보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에 대해서도 “그것 때문에 차질을 빚는다거나 해선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이어 그는 “완전국민경선이라는 건 1인 1표의 원칙 아래서 수백만이 참여해서 흥행을 일으켜야지 성공을 하는 것”이라며 “만약에 결선투표를 도입한다면 완전국민경선제 참여열기의 동력을 떨어뜨릴 수가 있다”고 우려했다.
추 단장은 예비경선 경우에 시민여론조사 70%, 당원여론조사 30%로 돼 있는 것을 50% 대 50%로 조정하는 문제에 대해 “어제 수정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예선에서 후보들을 잘 아는 당원들한테 판단권을 드리는 것을 조금 더 강화해 당원 50% 판단을 존중하고, 국민한테 50%를 개방하더라도 국민참여경선 당헌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해석이 있다”고 설명했다.
추 단장은 ‘최고위원회에서 어저께 그렇게 결정해서 한 것은 그 요구를 받아들이되 결선투표제까지는 안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예고한 것 아니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렇지는 않다”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결선투표의 문제점을 강하게 어필했다.
추 단장은 “완전국민경선에 참여했던 선거인단하고 동일한 몇 백만이 다시 투표해야지만 그 정당성이 확보되는 것인데 그렇지 않을 경우에 소수가 결선투표에 참여해서 다수가 결론내린 것을 뒤엎는 것에 대한 정치적 책임도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완전국민경선제라는 것은 꺾을 수 없는 원칙이라는 게 주자들 간에도 알려진 상태에서 뒤늦게 각자에 처한 입장에 따라서 결선투표를 요구하는 그런 모양새여서 일단 명분은 없다”고 비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