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위원장, ‘김무성 등용론’ 평가절하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2-08-16 10:39:00
    • 카카오톡 보내기
    “대선캠프가 궁궐같이 된다고 표가 모이나”
    [시민일보] 새누리당 박근혜 예비후보 캠프가 공천헌금 파문 타개책 등을 놓고 이견이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이를 계기로 인적쇄신을 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또 비박 진영과의 갈등해소를 위해 이들부터 껴안은 뒤에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비박진영 포용으로 얻을 수 있는 표가 많지 않다며 오히려 외부세력 영입에 주력해야 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그 정점에는 한때 친박좌장으로 보수대연합론을 주장해온 김무성 전 원내대표를 등용할 것이냐 말 것이냐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김종인 박근혜 예비후보 캠프의 공동선대위원장은 16일 “사람만 잔뜩 모아 선거효율이 있겠느냐”고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솔직히 얘기해서 그 사람이 캠프에 들어와서 대선에 엄청난 무슨 일을 할 수 있다. 이런 판단을 하는 건 너무 과도한 생각 아니냐”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먼저 공천 뇌물 의혹에 대해 “저도 그 당시에 비대위에 속했던 사람이니까 당시 상황을 어느 정도는 제가 짐작을 하는데 실질적으로 비례대표 공천을 하면서 당이 헌금을 받거나 그런 것은 전혀 없었다”며 “지금 불거진 사건이 만약에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건 개인 간에 일어났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특히 그는 김무성 전 원내대표의 캠프 등용설과 관련, 홍사덕 공동선대위원장이 “예선캠프가 움막이면 본선캠프는 대궐 규모여야 된다”, “당내 비박계 지지자가 약한 20% 가량 되는데 그들을 끌어안아야 되는 것 아니냐”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대선캠프가 궁궐같이 된다고 해서 대선에 표가 많이 모여드는 건 아니다”라며 “대선캠프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하느냐에 달려 있는 거지. 이 사람, 저 사람 대선캠프에 다 몰려왔다고 해서 표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수단은 절대 될 수가 없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어 그는 “사람 수를 잔뜩 모아 놓는다고 해서 선거의 효율을 가져올 수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또 경제민주화 문제에 대해 “사회정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경제민주화는 필수적으로 따라갈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라며 “사회정의가 어느 정도 확립이 되지 않는다면 신뢰와 믿음이라는 것이 있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박 후보 캠프의 총괄본부장을 맡고 있는 최경환 의원이 '경제민주화 이슈를 대선까지 가지고 갈 수가 없다'고 언급한 것에 대해 “무슨 의미에서 그런 얘기를 했는지 모르지만, 지금 대선 전에 경제민주화를 포기한다면 박근혜 후보는 그걸로 인해서 국민에 대한 신뢰를 완전히 상실할 수밖에 없다”며 “그렇게 해서는 본선 절대로 승리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박근혜 후보는 선거 이전에 경제민주화를 접어야 된다는 생각은 안 하고 있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한편 같은 날 이정현 최고위원은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김무성 전 원내대표의 캠프 등용설에 대해 “몇 분이서 얘기한 것 같은데, 지금 당내에서는 그게 핫이슈가 아니다”라며 “아무개 영입 찬성 대 아무개 영입 반대, 이렇게 마치 당이 싹 갈라져 있는 것 같은 그런 인상을 주고 있는 것은 몇몇 사람들의 개인의견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홍사덕 공동위원장의 경우 ‘김무성 전 원내대표가 당연히 중책을 맡아야 된다’는 입장인 반면, 김종인 공동위원장과 이상돈 정치발전위원은 이를 공개적으로 반대를 하고 있는 것에 대해 “그분들 의견이 절대적인 것만은 아니다”라며 “새누리당은 공당이고 공당차원에서 논의를 통해서 최종 결정을 하게 될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또 박 후보 캠프 내에서 경제민주화를 둘러싸고 이견이 나타나고 있는 현상에 대해 “박근혜 후보는 경제민주화에 대해 아주 강하고 단호한 의지를 갖고 추진할 것”이라며 “이것은 대한민국 헌법 119조에 1항과 2항에 같이 들어있는 사안이고, 헌법을 제대로 이행하고 지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이걸 한마디로 얘기하면 공정이다. 공정하지 못했던 부분들에서 경제 부분에서 공정하게 하자는 건데 그 공정이 어떻게 선택이냐, 이건 필수고 필연”이라고 덧붙였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