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김 후보 “결선투표에서 역전 기대”
[시민일보]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경선이 진행되고 있는 5일, 문재인 손학규 김두관 후보 간에 신경전이 치열하게 전개됐다.
먼저 선두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MBC 라디오 '시선집중 광주'에 출연, "민주당과 안 원장과의 단일화 및 연대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민주당 중심의 단일화가 이뤄져야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단일화 과정에서 안 원장을 이길 자신이 있는가'라는 질의에 "안 원장과 합의에 의한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경쟁을 통한 단일화를 도모해야 한다"며 "제가 민주당의 후보가 되는 순간 지지도와 위상이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민주당이라는 전통적 정당을 뒷받침해 경쟁한다면 이기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자신했다.
그는 또 당내 비주류 인사들을 중심으로 '쇄신론'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서는 "민주당은 단합과 쇄신이 살 길이라고 생각한다. 앞장서서 노력하겠다"며 "민주당 대선 후보가 된다면 다른 3명(정세균·김두관·손학규 후보)에게 도움을 부탁할 것이고, 거꾸로 다른 분이 후보가 되면 제가 선대본부장이라도 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오전 손학규 후보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동창들과 만나 '18대 대통령의 시대적 과제'라는 주제로 강연을 갖고 "경선 횟수로는 반이 지났지만 표수로는 5분의1 밖에 진행이 안돼서 갈 길이 많이 남았다고 본다"며 "(대선 경선)결선투표의 가능성은 상당이 높다"고 밝혔다.
그는 "결선투표를 단순히 1·2위의 대결이라고 보지 않는다. 새로운 국면이 전개될 것"이라며 "민주당 경선이 흥행에 실패했다, 국민으로부터 외면을 받는다는 평가를 받지만 불과 지난 열흘 동안 나온 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의 주류인 친노(親노무현)세력을 지지세력으로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가 있냐는 질문에는 "'주류가 친노'라는 표현은 바꿔야 한다. 주류는 민주세력이고 당권파가 친노"라며 "경선 대의원 현장투표나 투표소 투표에서는 (제가)우위를 점했다. 이런 것이 당내의 전반적인 흐름"이라고 주장다.
그는 모바일 투표와 관련해서는 "원래 취지가 좀 더 많은 국민을 참여시켜 민심과 당심을 근접시키겠다는 취지였는데 지금은 소수 모바일 세력이 특정 정파와 정치세력을 대변, 집단적으로 움직이면서 민심과 당심이 왜곡되고 있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대통령 후보로 당선됐을 때 안철수 서울대 원장과의 단일화에 대해서는 "경선이 새로운 활기를 얻게되면 그것에 따라 안 원장과의 관계도 새롭게 설정될 수 있다"며 "이렇다 저렇다 가설을 제시하는 것은 언론인이나 평론가의 역할"이라고 말을 아꼈다.
김두관 후보도 현재까지 진행된 경선에서 득표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후보와 관련, "득표율이 하향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결선투표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 "문 후보의 본선 경쟁력과 관련해 불안하다는 당원들도 있고, 지지자들 사이에도 그런 인식이 깔려있다"며 "수도권으로 갈수록 흐름이 달라지고, 문 후보의 (누적 득표율이) 50%를 넘지 않고 있아 (결선투표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금까지 7차례 진행된 민주당 대선 후보 지역 순회 경선에서 후보별 누적득표율은 문재인(45.95%), 손학규 (22.64%), 김두관 (20.35%), 정세균 (11.06%) 순이다. 총 13번의 경선을 거쳐 1위의 누적득표율이 과반을 넘지 못하면 1·2위 간 결선투표가 진행된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