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민주통합당 노웅래 의원(서울 마포갑)은 26일 “정부의 광고 종편 보너스율이 평균 518%에 달한다”며 “이는 100만원의 광고비로 600만원에 해당하는 광고를 편성해 줬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노웅래 의원이 이날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1년 12월부터 올 8월까지 한국언론진흥재단을 통한 종편에 대한 정부광고 판매액은 총 36억원이며 이에 대한 종편의 보너스율은 평균 518%으로 나타났다.
보너스율은 광고주가 발주한 금액 외에 발주금액에 더하여 광고매체에서 보너스로 편성해주는 광고를 의미하는 것이다.
실제 종편 JTBC의 보너스율은 326%, MBN은 345%, TV조선은 502%, 채널A는 905%의 보너스 편성을 하고 있다.
반면 지상파계열 드라마, 스포츠 채널의 경우 보너스율은 10% ~ 200%, CJ계열 메인 채널(영화, 연예, 오락)의 경우 보너스율은 20 ~ 300%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지상파의 경우 30-40%대에 그쳤다.
KBS2-TV의 보너스율은 40.0%, MBC-TV는 33.7%로 집계됐다.
또한 월별 보너스율을 보면 종편의 개국한 지난해 12월과 올 1월에는 200%대에 머물던 보너스율이 2월부터 급격하게 상승했는데, 이는 종편이 시청률 저조와 광고판매가 부진하면서 보너스율이 그 만큼 확대된 것으로 해석되어 진다.
한편 AGB 닐슨이 수도권 가구 시청률을 분석해 보면 종편의 경우 지난 12월부터 올 9월까지 0.5%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자료를 보면 JTBC의 경우 2012년 상반기 825억 적자, MBN의 경우 181억 적자, 채널A의 경우 191억 적자로 나타나 종편 사업자의 경영상태가 매우 불안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노의원은 “종편정책의 실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면서, “이명박 정부의 무원칙하고, 방송광고 시장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종편의 무리한 허가가 오늘의 사태를 몰고 왔으며, 이에 대해서는 명확한 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