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독설' 李 탓에 文 지지율만 하락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2-12-06 15:55:00
    • 카카오톡 보내기
    朴 2.5%p↑ 51.4% VS 文 3%p↓ 40.9%… 李도 0.7%p ↑
    [시민일보] 대선주자 첫 TV 토론 당시 이정희 후보의 (박근혜 후보에 대한) 과도한 공격이 문재인 후보 지지율을 떨어뜨렸다는 조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리얼미터 이택수 대표는 6일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TV 토론 전후 이틀 간 조사 중) TV토론 이후 것만 따로 집계한 결과, 박근혜 후보는 전날 조사에 비해 2.5%P 상승한 51.4%, 문재인 후보는 3%P 하락한 40.9%로 두 후보간 격차가 7.6P로 벌어졌고, 이정희 후보는 0.7%P 상승한 1.5%로 보수층 결집과 진보층지지 이완(현상)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며 “야권 입장에서는 2차 TV토론 때 전략을 수정하지 않으면 박근혜 후보와의 격차를 줄이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주장했다.

    리얼미터는 TV토론 당일과 다음 날 이틀간 전국 유권자 1500명을 대상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으로 ‘누가 잘할지’와 ‘누가 잘했는지’를 유무선 전화로 조사한 바 있다.

    이 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김종배 시사평론가는 같은 인터뷰에서 “리얼미터 조사 결과에서 가장 주목할 것은 TV토론 시청비율이 가장 낮은 안철수 전 후보 지지층이 시청 후 지지후보를 가장 많이 바꾼 결과였다”며 “이렇게 본다면 결국 (각 후보의 상승, 하락 효과가) 안철수 전 후보 지지층에서 발생한 측면이 가장 크다”고 지목했다.

    반면 이 대표는 ‘이정희 후보의 도중사퇴’를 주요 변수로 꼽았다.

    그는 “워낙 박빙으로 예상되는 이번 대선에서 이정희 후보가 갖고 있는 한 2, 3%의 포션이 문재인 후보한테는 또 위기로 다가올 수 있다”며 “3자 구도로 계속 TV토론이 되면 민주당 문재인 후보 입장에서도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했다.

    이 대표는 “박근혜 후보는 1차 TV토론에서 보수층 결집 현상을 받게 되면서 각 조사에서 48.9% 혹은 50%를 넘는 지지율을 보이고 있어 (이정희를 포함한) 3자 구도가 그다지 나쁘지 않다”며 “특히 투표용지 인쇄가 들어가는 10일 예정된 2차 토론에 이 후보가 참여한다면 야권 입장에서 곤혹스러운 상황이 될 것이다. 안철수 전 후보의 지지, 이정희 후보의 중도사퇴 시기가 이번 대선 판도의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김종배 평론가는 “1차 토론 이후 나타난 여론조사만으로 판세를 규정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짓”이라며 “1차 토론에서 두각을 보이지 못한 문재인 후보가 토론실력이나 준비부족 때문인지 전략에 기인한 것인지 2차, 3차 토론에서 또 다른 변화를 보여줄 수 여지가 있다”고 이견을 보였다.

    안철수 전 후보가 캠프 해단식을 하면서 선거판을 싸잡아서 비판한 이후 네거티브 공세 자제령을 내린 문재인 후보의 행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해석이다.

    향후 대선 변수와 관련 이택수 대표는 “안철수 전 후보의 입장을 기다리다 지친 부동층 표심이 어느 정도 (지지후보를) 정해가기 시작했다”며 “안 전 후보가 너무 늦게 입장 표명을 하고 유세에 나선다면 그다지 영향력이 크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지금은 부동층이 많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TV토론 효과도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전망이 더 많다”고 덧붙였다.

    김 평론가는 “TV토론 영향은 결국 안철수 전 후보의 행보와 연동해서 봐야 될 것”이라며 “안 전 후보가 10일 토론 전 문재인 후보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면 1차 토론 당시 유동층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던 안전후보 지지층이 2차 토론 이후 여론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임태희 새누리당 중앙선거위 공동의장은 6일 평화방송 <'열린 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서 "중도층, 중부권, 중년층, 중산층 등 4중 세대가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라면서도 "4중 세대는 합리적 선택을 하는 분들이기 때문에 안철수라는 인물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는 표는 아닐 것"이라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