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이명박 정부 인수위에서 활동한 바 있는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은 “원만하고 비교적 잘 된 인사”라고 이번 인수위 인선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7일 ytn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요란하지 않고 당선인의 평소 성품이나 생각, 조직운영 방향 이런 것들에 걸맞게 실무 중심으로 내실을 기하면서 정권인수 작업을 해 나갈 수 있는 포석을 두신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당선인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는 인사가 중용되어야 하는 데 당선인과 가까운 친박 인사가 배제됐다’는 우려에 대해 “보니까 과거 박근혜 당선인과 정책연구나 토론을 계속 해왔거나 선대위에서 공약이나 정책을 만들고 다듬고 해왔던 전문가들이 많이 참여를 했는데 실질적인 정권인수위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조직으로 인사를 하신 것 같다”며 “이번 인수위에 참여하지 못한 친박 정치인들은 새정부 국정운영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또 다른 역할이 있을 거라는 느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수위 인사가 철통보안으로 가야하느냐는 사회자 질문에 대해 “아무래도 공개되었을 때 야기되는 파장이라든지 부작용 등을 관리하기가 쉽지 않다는 부담 때문에 역대 어느 정부든 최고 인사권자는 기본적으로는 보안 중심의 인사를 해왔다”며 “예외적으로 몇몇 분들은 보안적으로 언론에 예비명단들, 또 거론되는 명단들을 보도되게 해서 그에 대한 주변 인물들의 평가, 또는 국민여론을 봐서 최종적으로 인사를 압축하는 분들도 계셨지만 (인사의)기본은 결국 보안”이라고 강조했다.
조의원은 “임명되는 입장을 볼 때 최종적으로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생활노출은 물론 불필요한 음해에 시달리느니 공직을 포기하겠다는 분들은 굳이 공개해서 검증을 받을 필요가 없다”며 “다만 본인이 동의했다면 본인 감수를 전제로 필요한 경우에 공개해서 국민적, 검증, 여론의 검증을 받는 것도 필요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그러면서 조의원은 공개 인선의 현실적인 문제를 들어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조의원은 “인사절차가 공개되면 그동안의 풍토로 봤을 때 인사에 참여하는 분들한테 수많은 이력서와 추천서들이 줄을 서는 혼란이나 갈등, 심지어 파벌로 인한 권력투쟁에 시달릴 수도 있다”며 “인사권자가 차분하게 인사에 집중할 수 없는 어려움 때문에 공개주의를 부담스러워 한다”고 철통 보안이 유지되는 인수위 인사 방식을 옹호했다.
한편 김대중 정부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을 지낸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은 같은 인터뷰에서 “인수위원회의 한정된 범위를 넘어 과욕을 부리면 혼란이 올 수 있다”며 “어떤 정책이든 완전히 결정되기 전에 발설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고 한 건 해야겠다는 욕망을 자제할 것”을 주문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