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이번 4.24 재보궐선거는 투표율 여부에 따라 명암이 엇갈린다는 전망이다.
23일 여야 정치권에 따르면, 이번 재·보선 투표율은 역대 선거의 30%대 초반 투표율을 웃도는 결과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우선 이번 선거에서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제가 투표율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 지난 19~20일 이틀간 전국 12개 선거구에서 실시된 사전투표 결과, 서울 노원병과 부산 영도, 충남 부여·청양 등 국회의원 3개 선거구의 평균 투표율은 6.93%로 집계됐다.
이는 19대 총선 당시 이들 3개 지역의 부재자 투표율 1.94%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특히 무소속 안철수(서울 노원병), 새누리당 김무성(부산 영도)·이완구(충남 부여·청양) 후보 등 정계판도를 뒤흔들만한 '거물급' 인사들의 출마도 투표율을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지역 정가는 이번 재·보선 투표율이 40%대까지도 가능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일단 투표율이 낮으면 조직력이 앞선 여당 후보에게, 젊은 층이 대거 참여로 투표율이 높아지면 야권 후보에게 유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반면 사전투표 결과가 투표 당일 투표할 유권자가 미리 한 표를 행사한 의미도 있기 때문에 실제 투표율이 얼마나 올라갈지 알 수 없다는 전망도 있다.
특히 투표율이 높으면 야권 후보가 유리하다는 공식이 지난 대선에서 여지없이 빗나간 경험도 투표율 만으로 여야 어느 쪽의 승리를 장담할 수 없게 만드는 요인이라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