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만 운영" vs. "사실 왜곡"… 민주당, 대선자금 검증 논란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3-04-23 17:25:00
    • 카카오톡 보내기
    문병호 "비용 최소화 노력 부족… 업체 선정도 문제"
    조정식 "한쪽의 일방적 진술 토대로 작성돼 불공정"
    [시민일보]민주통합당 때 아닌 대선비용 검증 논란으로 내홍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민주당 대선선거비용 검증단은 23일 문재인 전 대선후보 선거대책위원회가 지난 대선 때 선거비용을 방만하게 운영했다고 밝혔다. 또 업체선정에 있어서 객관성 등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후보 측은 “어처구니없는 왜곡”이라며 강력 반발했다.

    먼저 민주당 '대선선거비용 검증단' 단장인 문병호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당이 비용을 직접 지급하는 것이 아니고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보전을 받아 지급하기 때문에 금액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의원은 "향후 선관위와 충분한 상호논의를 통해 선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선거캠프의 방만한 운영과 안이한 집행은 세금낭비와 직결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그는 "객관적이고 투명한 기준(매뉴얼)에 의거해 업무를 집행하는 시스템을 정착시켜야 한다"며 "업체 선정 등 대선준비를 조기에 시작해야 하고 선거전략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부분에 대한 선거비용보전 비중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같은 문제점에 대한 권고사항으로 검증단은 보고서에서 "업체선정 심사기준과 배점표 같은 세부사항을 미리 정해 심사할 때 심사위원의 자의성을 낮추고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며 "심사위원을 선임할 때에는 전문성과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문가의 참여가 지금보다 더 많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검증단은 또 "총선 또는 대선이 주기적으로 돌아오게 됨에 따라 모두가 준수할 수 있는 입찰에 대한 의사결정과정과 자금의 집행, 사후 처리 등에 대한 매뉴얼의 작성이 필요하다"며 "홍보카피와 슬로건개발, 선거전략입안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친노(친노무현)·주류 측은 보고서가 한쪽의 일방적 진술을 토대로 작성됐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문 의원은 "어떤 설명을 하더라도 계파갈등의 소지로 보는 경향이 많지만 계파 간 시각은 없었다"며 "대선비용이 얼마나 잘 사용됐는지 대선패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편향적인 시각에서 기술했다는 (주류 측) 주장이 있지만 모두가 인정하는 부분을 결론으로 냈다"면서 "조사에 응하지 않은 사람도 있지만 관련된 10여명을 조사하고 팩트(사실관계)만으로 결론을 내렸다. 특정인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대선 때 문재인 전 후보의 고교 선배와 친노 인사 등 선대위 내 일부 인사들이 온·오프라인 광고 대행업체 선정을 좌지우지하는 등 유세차와 인쇄물, 점퍼 등과 관련한 선거운동 자금 지출에 문제가 많았다는 보고서 내용이 언론에 공개된 바 있다.

    이 같은 대선자금 검증단 지적에 대해 같은 당 조정식 의원은 "어처구니가 없다"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대선캠프 당시 소통1본부장을 지냈던 조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문 단장이 제기한 관련 의혹들에 대해 "사실관계도 틀리고 상당히 왜곡돼 있다. 공정하게 나온 보고서가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조 의원은 업체선정과 관련, L단장과 C씨가 개입했다는 주장에 대해 "내가 주관했다"며 "소통본부와 주요 단장 10여명으로 심사위원단을 구성했고 C씨는 심사에 들어오지도 않았다"고 일축했다.

    이어 그는 심사과정에 대해 "심사위에서 공개 프레젠테이션(PT)을 받고 심사위원들이 각자 채점해서 최종 결정한 것"이라며 "선정된 업체와의 계약은 총무부에서 해야 하니까 총무부에 넘겨줬고 특정인이 개입해서 한다는 건 애당초 (말이 안 된다). 제가 소통본부장을 맡으면서 첫 기조가 공정성과 객관성, 전문성을 갖고 하겠다는 것이었고 실제로 그렇게 일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입찰에 참여하지도 않은 영세업체 C사를 홍보업체로 선정했다는 주장에 대해 "영세업체도 아닌 인터넷 광고계에서는 1위 업체다. 영세업체라면 업계에서 보면 웃을 이야기"라고 반박했다.

    그는 점퍼 색상도 L단장의 개입으로 녹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뀌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당시 선대위 색상은 녹색과 노란색 혼용이었다. 실무라인에서 녹색과 노란색 샘플을 만들어 선대위 회의에 보고한 뒤 선대위에서 공식 결정한 것"이라며 "지침이 내려온 것은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

    한편 조 의원은 대선자금 총책임자였던 우원식 총무본부장과 함께 24일 비대위 회의에 참석해 대선선거비용 검증단 보고서에서 사실과 다른 부분을 시정해 줄 것을 공식 요청할 예정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