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일본의 우경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새누리당 김세연 의원이 2일 "동해 수호를 위해 울릉도 해군기지 건설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날 YTN<전원책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독도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는 아니지만 인근에 있는 울릉도의 해군기지건설을 통해서 혹시라도 있을지 모르는 지속적인 점령에 대비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내에서 주로 실효적 지배 강화, 이런 식의 표현들이 좀 쓰여 왔던 데 대해서 개인적으로 유감스러운 생각"이라며 "실효적 지배라는 용어 자체가 어떤 분쟁지역이 될 수 있다 내지는 확고한 우리 영토가 아닐 수 있다는 암묵적인 전제 위에 이런 표현이 쓰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영토관리강화 관점에서 우리가 독도에 대한 어떤 투자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예를 들면 과학기술 기지를 건설해서 이 부분을 유인화 한다든지 또 어떤 친환경적인 어떤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그런 투자를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일본이 신사참배의 정당성을 강조한 데 대해 그는 "이러한 역사인식이 독일과 자주 비교가 되는 것 같다"며 "독일의 자세와 일본의 자세가 너무나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은 국제사회에서 지금 공분을 불러일으키고 있고 일본이 이런 식으로 스스로 궁지로 몰아넣는 이러한 행위를 계속 할 때는 아마도 현재 일본이 가지고 있는 국제적인 입지보다도 훨씬 더 축소된 입지를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본이 '다케시마의 날'행사를 내년에 도쿄에서 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서는 "일본이 지속적으로 했듯이 분쟁지역화 하면서 이 독도에 대해서 국제사법재판소로 가지고 가서 자기들한테 유리한 방향으로 문제를 이끌어 가려는 저의가 담겨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는 "전후 세계질서를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단독으로 할 수 있는 것 보다는 주변국들과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며 "일본의 역사인식이 국제사회에서 매우 인정받기 어려운 비이성적이고 비정상적인 행동이라는 점을 명확히 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조용한 대응을 한 것은, 조용한 외교 원칙에 입각한 것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지만 이제 분쟁지역으로 만들지 않으면서도 우리가 조금 더 적극적인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