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NLL 포기발언’ 사실이면 정계은퇴” 선언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3-07-01 17:49:33
    • 카카오톡 보내기
    새누리, “야당에 압박...얄팍한 배수진” vs. 민주당, “소모적 논쟁 그만하자는 충정”

    [시민일보]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시 NLL(서해북방한계선) 포기발언이 사실이라면 정계은퇴도 불사하겠다며 배수진을 쳤다.



    이를 둘러싸고 1일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새누리당 정우택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NLL을 서해평화구역이나 공동어로수역으로 설정해 우리 어민의 생계를 위협하고 북한에 이익을 주려는 것이 NLL을 포기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이날 당 지도부가 문 의원의 발언에 힘을 실으면서 문재인 의원과 공동대응 의사를 분명히 했다.

    새누리당 정우택 최고위원은 "북한은 과거 구 소련과 어업협정을 맺은 뒤 어획량 쿼터 일부를 돈을 받고 일본에 팔았던 점을 상기해야 한다"며 "북한 행태로 봤을 때 평화공동수역 자체가 군사전략적 측면에서 위험한 발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민주당을 향해 "우리 국민을 죽음으로 몰고 간 적의 수장에게 사과는 받지 못 할 망정 우리 수역을 나눠쓰자는 노 전 대통령을 시종일관 옹호하고 있다"고 "민주당은 NLL을 우리 영토로 인정하는지 분명히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강은희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이재용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문 의원이) 이 부분에 대해 대선 전에도 얘기를 했고 현재도 얘기를 했기 때문에 합당한 책임을 지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일각에서 NLL 대화록 조작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것에 대해 "NLL의 본질에 대해 외면하고 있는 것 같다"며 "NLL 전문을 보면 그대로 두자는 듯한 내용도 있지만 앞부분의 내용이고 뒤로 갈수록 내용의 강도가 바뀌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정일 위원장이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경계선과 남측이 주장하는 북방한계선 사이에 수역을 공동어로수역으로 설정하면 어떻겠는가를 물었을 때 노 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NLL은 바꿔야 한다고 말한 것이 뒷부분에 나오는 내용"이라고 강조했다.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특히 문재인 의원이 NLL포기 발언이 사실일 경우 '정계은퇴'하겠다고 선언한 것과 관련, "직접 '포기'라는 그 단어가 없었다 해서 얄팍한 배수진을 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 논란의 책임을 벗어나려고 하는 것 같은데 이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NLL 포기라는 말 자체는 없었지만 어떻게 보면 노 전 대통령의 발언이 국군통수권자로서 영토의 그런 수호의지 없이 사실상 NLL 포기발언 한 거 아니냐"고 반문했다.



    특히 그는 문 의원의 이같은 발언 배경에 대해 "어떻게 보면 야당에 대한 압박도 있는 것 같고, 또 여당에게도 이런 부분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NLL 바로 밑에 백령도와 연평도가 있다"며 "그런데 백령도와 연평도 밑의 지역에다 공동어로구역을 만드는 경우가 이게 포기 아니고 무엇이냐. 이게 가능한 일이냐"고 지적했다.



    같은 당 조해진 의원 역시 문 의원의 '정계은퇴'발언에 대해, "정치적인 포석이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고 평가절하했다.



    조 의원은 이날 오전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개인적으로 문 의원의 진정성을 믿지만 NLL 포기 논란은 '포기'라는 용어를 썼느냐 안썼느냐 차원의 문제는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의 6·15 정상회담 이후 노무현 정부 때까지 NLL에 대해 불투명하고 유보적이고 양보할 듯한 분위기를 많이 보여서 국내에서 우려가 많이 제기됐다"며 "10·4남북정상회담 때 그것이 표면화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특히 그는 "문 의원이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사실일 경우 정계은퇴 하겠다고 말하는 게 한 편으로는 진정성있는 의사인 것 같으면서도 또 한 편으로는 대선 때 국회의원직 사퇴를 끝까지 거부했던 분인데 이번 국면에서도 이렇게 선언하고 나오시는 것은 정치적인 포석이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고 꼬집었다.



    조 의원은 '정치석 포석'에 대해선 "다음 대선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분이기 때문에 민주당 내에서 본인이 주도해야 한다는 생각과 대화록이 공개된 이후에 여론이 민주당 입장에서 생각했던 것보다 불리하지 않다는 판단이 적용했을 수 있다"고 해석했다.



    조 의원은 민주당을 향해서도 "민주당이 NLL을 사수할 의사가 있다는 것을 국민들에게 공개적으로 분명하게 밝히고 그것에 맞는 행동을 보이면 이런 소모적인 논란은 상당부분 정리가 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당 지도부가 문 의원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문재인 의원이 NLL포기발언이 사실이라면 정계를 은퇴하겠다고 했다. 이제 새누리당이 답할 차례다. 2007년 회의록과 부속자료 일체를 열람할 것을 공식적으로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어 새누리당에 "새누리당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 오늘 자료요청을 요구하자고 제안한다. 그리고 이와 관련해 여야 협의를 하자"고 제안했다.



    양승조 최고위원도 "어제 문재인 의원이 NLL포기 사실이면 은퇴하겠다고 했다. 소모적 논쟁을 그만하자는 충정이다. 국정원의 대화록 불법공개로 진실이 드러난 만큼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문 의원의 말처럼 NLL포기는 오해였다고 고백하고 10·4선언을 계승하겠다고 선언하라"고 새누리당에 촉구했다.



    특히 민주당 지도부는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구성 문제 등을 놓고도 새누리당을 비난했다.



    박혜자 최고위원은 "새누리당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 위원들의 면면을 보면 과연 새누리당이 국정조사를 제대로 할 의지가 있는지 모르겠다. 어처구니가 없다"며 "국정조사의 원천무효를 주장한 권성동 의원을 비롯해 대선 당시 NLL문제를 정치쟁점화한 정문헌·이철우 의원, 운동권 출신 검사 운운하며 검찰의 수사내용을 비판한 김진태 의원 등 이쯤 되면 국정조사 특위가 아니라 국정원 방어 특위"라고 꼬집었다.



    신경민 최고위원도 "새누리당이 이제는 국정조사에 지뢰를 심고 있다. 국정조사 위원 선정과 관련해 트집을 잡고 있다. 아무나 고발하고 빠지라는 식으로 민주당 위원들에게 국정조사에서 빠지라고 하고 있다. 오히려 문제가 있는 쪽은 그쪽이다. 정문헌, 김진태 의원이 더 문제가 된다"며 새누리당을 공격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