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근영 경사 |
이를 반영 듯 정부에서는 체류 외국인의 한국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 전국 205개소의 다문화지원센터를 운영하며 외견상 상당한 성과와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아직 한국사회는 같은 구성원으로 체류 외국인에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오죽하면 노동부장관이 인터뷰를 통해 ‘지난 70년대 독일 광부와 간호사로 간 한국의 젊은이를 기억하자’며 이주노동자의 인권 향상을 언급하겠는가.
하기야 이주 외국인을 소개하는 방송프로그램을 보면 고향에선 쓰러져가는 집에서 살다 한국인 남편을 만나 시어머니 모시고 잘살고 있다는 패턴의 방송의도와는 다르게 열등한 국가에서 온 것처럼 우리에게 비추어 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모든 것을 부의 가치로 판단하고 그들의 문화나 지난날의 찬란한 역사는 기억되지 않는다. 이러한 왜곡된 가치판단은 정부행사에도 종종 나타나는 대표적인 것이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불우’라는 표현을 지원이라는 명목아래 ‘불우다문화가정’, ‘불우다문화청소년’ 등에 사용되고 있는 사실만 보아도 한국사회의 배려의 수준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사회는 성공한 다문화사회로 나아가야할 명제를 안고 있다. 그 이유는 대다수의 학자들이 언급하듯 성장을 위한 대한민국의 미래는 차별 없는 사회통합뿐이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이주 외국인을 향한 왜곡된 편견의 인식전환이 급선무일 것이다.
사회의 구성원을 피부색이나 외모로 구별하지 않고 한사람의 고유한 인격체로 진정한 이웃으로 받아드릴 때 자유와 평화 그리고 화합 속에 비로써 우리의 아이들에게 아름다운 대한민국을 유산으로 남겨줄 수 있을 것이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