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NLL 대화록 음원공개’ 정면충돌

    정당/국회 / 이영란 기자 / 2013-10-08 16:20:36
    • 카카오톡 보내기
    새누리, “문제 빨리 매듭짓기 위해 공개 불가피”

    민주당, 당론은 ‘불가’...조경태는 “고려할 수도”



    [시민일보]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미(未)이관을 둘러싼 여야 공방이 점차 가열되는 양상이다.



    특히 민주당이 ‘NLL 대화록 음원공개’를 놓고 찬반양론이 대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새누리당 서상기 의원과 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8일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날선 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 서 의원은 "지금 NLL 문제 때문에 거의 1년 동안 정가가 들끓고 있다"며 "민생이 급하기에 빨리 이 문제를 종식시키려면 음원파일을 공개하는 수밖에 없다"고 압박했다.



    그는 "빨리 이 문제를 마무리 짓고 민생에 전념하자고 하는 취지에서 대화록 음원파일 공개를 제안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음원공개가 외교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걱정되는 부분도 있지만 지금 우리가 선택을 해야 한다"며 "어느 게 더 중요하고 어느 게 더 급하냐, 외교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더라도 더 이상 이 문제 가지고 논란하는 것은 국익에 너무나 손실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어 "(음원공개) 후에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은 논란을 계속함으로써 생기는 부작용에 비하면 미미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반면 민주당의 당론은 '음원공개 불가'다.



    민주당 전 의원은 "(음원공개는) 정말 타당하지 않은 주장이라고 생각한다"며 "정상 간의 회담을 육성으로 공개한다는 것은 외교관행상 굉장히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이어 "만약에 진위여부를 가리고자 한다면 현재 세 가지가 있는 e지원 사본, 대통령기록관에 e지원 사본에 있는 초본, 그리고 최종본, 그리고 국정원에 있는 대화록, 이 세 가지를 확인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박지원 의원도 같은 날 BBS '박경수의 아침저널'과의 통화에서 "우리 당에서는 음원, 즉 녹음 파일을 공개해서는 절대 안 된다고 하고 있다. 가장 정확하게 알고 있을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본부장은 최종적으로 음원을 공개할 수도 있다고 했는데 이것은 굉장히 잘못된 생각"이라며 당내 일각의 음원 공개 주장을 비판했다.



    이어 그는 "어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도 국회에서 말씀을 했기 때문에 이제 여야가 국회에서 'NLL을 지금도 사수하고 영원히 사수한다'는 선언을 하고 종식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음원을 공개해서 또 한 번 외교사에 오점을 남기고 남북관계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음원 공개 반대 입장을 거듭 밝혔다.



    김관영 수석대변인도 KBS1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통화에서 "새누리당이 음원을 공개하자는 것은 또 다른 정쟁의 의도가 있다"며 "음원이 공개된다 한들 논란이 종식될 것이라 보지는 않는다"고 음원 공개 반대 의견을 내놨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음원 공개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와의 통화에서 "나는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기록, NLL에 대한 기록 원본 공개를 반대하는 입장이었는데 민주당이 갑자기 원본공개로 당론을 정하면서 정쟁에 깊숙이 들어와 버렸다"며 "음원파일 공개 역시 반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만약 대다수의 국민이 공개를 원하고 끊임없이 정쟁으로 간다면 가능하면 빨리 매듭을 짓기 위해 여야가 정치적 합의를 봐야 한다고 본다"고 음원 공개를 고려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그는 새누리당의 대화록 공개 요구를 수용했던 문재인 의원을 겨냥, "개인적으로 대화록 공개는 국가적 이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왔다. 그런데 문재인 의원이 판을 키운 측면이 있다"며 "본인 스스로가 정계은퇴를 선언했고 발생한다면 책임지겠다는 말씀도 했다. 그에 상응하는 태도를 취하고 책임을 질 것이라 생각한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