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 14일부터 실시되는 박근혜정부의 첫 정기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서울시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18일 국토교통위원회, 22일 안전행정위원회 등 총 2개 상임위원회의 국정감사를 받는다.
18일로 예정된 국토위 국감에서는 서울시가 지난 7월에 발표한 경전철 사업이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경전철 수요예측 검증의 타당성과 예산 규모의 적정성 등이 쟁점화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량진 상수도공사장 수몰사고 및 방화대교 상판 붕괴 사고와 관련해 서울시의 관리 소홀 여부가 집중 추궁을 받을 전망이다.
노량진 상수도공사장 수몰사고는 공공기관이 시행하는 대형건설사업 중 단일 건으로 최다 사망자가 발생한 사고로 상수도관 공사중 한강수위가 상승해 맨홀 안에서 작업하던 인부 7명이 익사했다.
또한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는 2012년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건립 공사 현장 화재사고로 작업 인부 4명이 사망하고 25명이 부상당했다.
두 사고 모두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와 국립현대미술관이 시행기관으로 서울시의 책임추궁이 예상된다.
22일 열릴 예정인 행안위 국감에서는 서울시 부채와 재정건전성, 무상보육 사업 등이 다뤄질 전망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무상보육 예산과 관련해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가 예산편성을 잘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중앙정부에 돌리는 여론호도를 하다가 이미 중앙정부의 예산보조율이 예비비와 특별교부금의 42%에 이르고 국회가 1,902억원의 예산을 이미 배정해 두었다는 사실이 공개됐다”며 “이번 무상보육을 둘러싼 예산갈등은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안겨줬다는 점에서 그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책임소재에 대한 분명한 규명이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