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권영세 조사는 뒷전… 편파·정치적 수사다"
[시민일보] 2007년 남북정상회담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민주당 문재인 의원에게 소환을 통보하자 민주당이 발끈하고 나섰다.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문 의원에 대한 소환 사실을 알리면서 "국정원과 청와대의 국감이 있는 시기에, 박 대통령이 해외순방으로 국내에 없는 시기에 문재인 후보를 딱 맞춰 부르는 시기가 너무 공작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소환 형식에 대해서도 "제1야당의 대통령 후보를 했던 사람을 그런 식으로 소위 참고인 자격으로 이렇게 부르는 게 과연 형식적으로 옳은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화록을 불법 유출하고 이것을 대선에서 이용해먹은 것"이라며 "핵심 관계자인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는 느낌이 전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편파수사이고 정치수사라고 주장하지 않을 수 없다"고 날을 세웠다.
우원식 최고위원도 소환형식에 불만을 제기하며 "국민 48%의 지지를 얻은 제1야당 대선후보였던 분을 참고인에 불과한데 공개적으로 소환하는 것은 망신주자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화록 유출 피의자인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대사에 대해서는 조사도 안 하고 이관 책임자인 문재인 의원만 부르는 것은 편파수사"라고 주장했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광수)는 지난 2일 문재인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문재인 의원측은 검찰과 출석 시기를 조율 중이지만 이르면 5일이나 6일 출석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문재인 의원은 김한길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 등 지도부에 이 소식을 알리고 이에 대한 공개 문제를 포함한 모든 대응을 지도부에 일임한 것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의원은 참여정부 당시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을 지냈고,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근무하며 국가기록물 이전 작업을 총괄했다.
검찰은 문재인 의원을 상대로 회의록이 국가기록원에 이관되지 않은 경위, 봉하e지원에만 회의록이 존재하는 이유, 회의록 삭제에 개입하거나 지시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한편 검찰은 남북정상회담에 직접 배석한 김만복 전 국정원장과 회의록 작성과 등록, 이관 등에 참여한 조명균 전 안보정책비서관, 김경수 전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 등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으며, 문재인 의원을 상대로 사실관계를 파악한 뒤 이르면 이번주 중 최종 수사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