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1042명 감축…정부인력 효율화 추진

    정치 / 김현우 / 2013-12-03 10:48:09
    • 카카오톡 보내기
    [시민일보] 공무원 정원 1042명이 감축되어 국세·관세 분야 현장인력과 화학재난 대비 합동 방재센터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재배치된다.

    겉으로는 수가 줄어드는 것 같지 않지만, 각 부처에서 새로 뽑으려던 것을 기존 잉여인력을 활용하기 때문에 사실상 줄어든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번에 줄어드는 정원은 각 중앙부처별 통합정원제 대상으로 일반직·기능직 공무원 정원의 1% 수준에 해당한다. 정부는 매년 전 부처 정원의 일정 비율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안전행정부(장관 유정복)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직제 개정안을 3일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통합정원제는 매년 각 부처 정원의 일정비율을 통합정원으로 지정·감축해 주요 국정·협업과제 등 신규 인력수요에 재배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일반직, 기능직, 외무직이 대상이며 정무·별정·계약·특정직 및 직위 보유자는 제외된다.

    올해는 각 부처별로 통합정원제 대상인 일반직·기능직 공무원 정원의 1% 수준인 1042명을 이달 안에 감축하게 된다. 부처별로 보면 국세청 191명, 법무부 95명, 검찰청 76명, 우본 70명, 교육부 65명, 고용부 54명, 국토부 36명, 해수부 35명, 농식품부 29명, 안행부 28명이다.

    이렇게 감축된 인력은 주요 국정·협업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력수요를 각 부처로부터 받아 재배치된다. 그간 모두 626명을 국민행복·민생안정 및 경제부흥 분야에 집중 증원해 그 만큼의 인력순증 요인을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재난 대비 6개 지역 합동 방재센터 구축(환경부·고용부)에 80명, 지하경제 양성화 위한 국세·관세분야 현장인력에 183명, 청소년 비행 및 성폭력 예방 등(법무부)에 18명명, 원자력 안전 및 품질규제 강화(고리지역사무소 등)에 9명, 세종청사 2단계 방호인력(안행부)에 61명, 국립세종도서관에 19명이 재배치 됐다.

    김현우 기자 kplock@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