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화목보일러 불티에 의한 화재로 보고 정확한 화인을 조사 중이다.
이렇듯 농촌지역이나 전원주택 생활을 하면서 벽난로나 화목보일러 취급부주의로 인한 주택 화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목보일러는 나무로 만들어진 재료를 땔감으로 사용하거나 나무와 유류를 혼용하도록 제작돼 고유가 시대에 난방비 절감에 효과를 볼 수 있어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용자의 제품안전과 화재안전의식은 개선되고 있지 않은 듯 하다.
특히 상당수가 농촌에 위치해 화재에 취약성을 나타내고 있다.
경기도 내에서 화목보일러로 인해 발생한 주택 화재는 2010년 68건, 2011년 76건으로 계속 늘고 있는 추세이며, 원인으로는 연료 투입구로 나온 불씨나 불꽃, 화원 방치가 47건으로 부주의에 따른 것으로 화목보일러의 사용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며 발생하는 시기는 지금 같은 늦가을부터 겨울철에 집중 발생하고 있다.
화목보일러 안전 사용을 위해 아래 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
화목보일러는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와 달리 자동온도조절장치와 같은 안전장치가 없어, 땔감을 한번에 많은 양을 태우면 과열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의 땔감을 넣고 태우는 것보다 적은 양의 땔감을 자주 태우는 것이 안전하다.
보통 보일러의 연통과 처마가 붙어있는 곳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건축물의 접촉면으로부터 충분한 이격 거리를 유지하고 열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판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보일러실을 불연재로 설치하고 땔감과 보일러간의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보일러나 난로에 불을 지펴둔 상태로 장시간 출타 등 자리를 비우는 일이 없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일러 주변에는 반드시 소화기를 비치해 유사 시 즉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할 것을 간곡히 당부드린다.
또 단독경보형 감지기 하나정도 부착하면 더 안전은 2배가 된다. 소화기 사용법은 각 종 언론매체 및 홈페이지 등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증가하고 있는 화목보일러 화재 예방을 위해서 화목보일러에 대한 사용자의 주의와 일상점검 생활화는 안전 사용의 필수 요소이다.
다가오는 겨울철 화목보일러를 사용하는 도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안전 수칙을 준수한다면 화재 없는 안전한 겨울나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외부 필자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