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동산 및 특별자산 펀드가 약진하면서 전체 펀드순자산 규모가 20조원 이상 증가했다.
금융투자협회가 8일 발표한 ‘2013년 펀드시장 결산’ 자료에 따르면 전체 펀드의 순자산은 328조4000억원으로 2012년보다 20조8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부동산펀드와 특별자산펀드의 순자산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매년 이들 펀드에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면서 지난해 말 순자산은 각각 4조3000억원 증가한 24조2000억원, 4조6000억원 증가한 26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지난해 주식시장의 더딘 회복으로 대체투자 대상을 찾는 투자자에게 부동산 및 특별자산 펀드가 금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채권형 펀드도 저금리 기조의 지속으로 선방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는 지난해 5월 기준금리가 2.75%에서 2.50%로 한 차례 인하되면서 2조원 가량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에 따라 순자산은 전년대비 8조5000억원 증가한 50조5000억원을 나타냈다.
해외 채권형 펀드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원화강세 등으로 국내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순유입액이 4000억원에 그쳤고, 순자산은 5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주식형 펀드는 국내 경기회복의 불확실성과 해외투자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코스피 지수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시사와 일본의 엔화약세 정책 등의 영향으로 2000선 아래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고점 환매 투자패턴이 반복되면서 국내 주식형 펀드 순자산은 전년대비 1조9000억원 감소한 63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주식형 펀드는 해외 주요 주식시장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 불안으로 전년보다 4조3000억원 감소한 16조8000억원을 나타냈다.
금융투자협회가 8일 발표한 ‘2013년 펀드시장 결산’ 자료에 따르면 전체 펀드의 순자산은 328조4000억원으로 2012년보다 20조8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부동산펀드와 특별자산펀드의 순자산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매년 이들 펀드에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면서 지난해 말 순자산은 각각 4조3000억원 증가한 24조2000억원, 4조6000억원 증가한 26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지난해 주식시장의 더딘 회복으로 대체투자 대상을 찾는 투자자에게 부동산 및 특별자산 펀드가 금리 이상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채권형 펀드도 저금리 기조의 지속으로 선방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는 지난해 5월 기준금리가 2.75%에서 2.50%로 한 차례 인하되면서 2조원 가량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에 따라 순자산은 전년대비 8조5000억원 증가한 50조5000억원을 나타냈다.
해외 채권형 펀드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원화강세 등으로 국내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순유입액이 4000억원에 그쳤고, 순자산은 5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주식형 펀드는 국내 경기회복의 불확실성과 해외투자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코스피 지수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시사와 일본의 엔화약세 정책 등의 영향으로 2000선 아래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의 고점 환매 투자패턴이 반복되면서 국내 주식형 펀드 순자산은 전년대비 1조9000억원 감소한 63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해외 주식형 펀드는 해외 주요 주식시장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 불안으로 전년보다 4조3000억원 감소한 16조8000억원을 나타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