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철 "선대위 구성해 기능 보완하는 게 낫다" 반대
유기준 "선거 앞둔 전대에 출전할 선수 많지 않을 것"
서병수 "전대 앞당기는 게 당내 민주화와 무슨 연관?"
[시민일보]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의 ‘5월 전 조기전대’ 주장이 '나홀로 섬'이 되어 외면받는 형국이다.
오히려 비판 의견에 직면하는 상황이 됐다.
이 의원은 22일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차기 전당대회가 8월로 굳어져가고 있다는데 우려스럽다”며 “당이 안정되게 운영되려면 급변 정국에 대처하기 위해 5월 전 조기 전대로 새 지도부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미 전당대회 주자들이 자천, 타천 출마의사를 표현하기 때문에 주자들 입장에서 8개월간 레이스를 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봐도 매우 고통”이라며 “전당대회 주자들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말을 많이 했다”고 조기전대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경기도지사 출사표를 던진 원유철 최고위원은 “선대위를 구성해 선대위에서 당 지도부와 함께 역할과 기능을 보완하는 것이 선거를 치루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당에는 여러 훌륭한 분이 있기 때문에 지역 연령 계층적으로 보완해 지방선거를 잘 치룰 수 있는 선대위를 구성하면 새누리당에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5월 15일까지 임기가 정해진 원내대표와 지도부를 그 전에 선출하면 지방선거에 대한 부담감으로 전대를 하더라도 출전할 선수가 많지 않다”며 “한마디로 뛰는 말이 있어야 경마대회를 여는데 조기전대를 해도 새로운 지도부를 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역시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이어 “공천, 선대위 구성 일정을 감안해 시기를 지나서 전대를 하는 것도 순조로운 일정에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서병수 전 사무총장은 이 의원이 ‘당내 민주화’를 언급한 사실을 놓고 "최고위원회, 중진회의에서 자기 의견을 공개적으로 언제, 어느 때나 말씀할 수 있는 상황이 과거 얼마나 있었느냐"며 "(전대를)앞당기고 뒤에 하는 게 당내 민주화와 어떤 연관이 있느냐"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전대 문제는 조기 전대냐, 지방선거 이후로 연기 하느냐는 지방선거와 직접적으로 연결돼 가장 전략적으로 해야 한다"며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또 앞으로 대선 승리와도 연결되니 당내 의견을 통합해서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황우여 대표는 당내 일각의 조기 전대 실시 주장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비상대책위원회+선거대책위원회’의 양대 체제를 대안으로 제시한 바 있다.
황 대표는 ‘조기전대론’에 대해 “임기 만료 시점인 5월 15일이 지방선거 직전이라서 전대를 치르기에 적절하지 않고, 2∼3월에 미리 하면 좋지만 당이 시끄러워질 수 있어 걱정이 많다”며 반대 의사를 드러냈다.
조기 전대의 문제점으로는 새로운 당 대표에게 선거부터 치르게 하는 부담과 함께 매번 5월에 전대를 치르는 관행이 향후 ‘4월 총선’과 ‘6월 지방선거’ 일정과 계속 겹치게 되는 난점을 지적했다. 때문에 당내에서는 7월 재·보궐선거까지 치른 뒤인 8월이 적기로 꼽히고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유기준 "선거 앞둔 전대에 출전할 선수 많지 않을 것"
서병수 "전대 앞당기는 게 당내 민주화와 무슨 연관?"
[시민일보]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의 ‘5월 전 조기전대’ 주장이 '나홀로 섬'이 되어 외면받는 형국이다.
오히려 비판 의견에 직면하는 상황이 됐다.
이 의원은 22일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차기 전당대회가 8월로 굳어져가고 있다는데 우려스럽다”며 “당이 안정되게 운영되려면 급변 정국에 대처하기 위해 5월 전 조기 전대로 새 지도부를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미 전당대회 주자들이 자천, 타천 출마의사를 표현하기 때문에 주자들 입장에서 8개월간 레이스를 해야 하는데 개인적으로 봐도 매우 고통”이라며 “전당대회 주자들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말을 많이 했다”고 조기전대 당위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경기도지사 출사표를 던진 원유철 최고위원은 “선대위를 구성해 선대위에서 당 지도부와 함께 역할과 기능을 보완하는 것이 선거를 치루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당에는 여러 훌륭한 분이 있기 때문에 지역 연령 계층적으로 보완해 지방선거를 잘 치룰 수 있는 선대위를 구성하면 새누리당에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5월 15일까지 임기가 정해진 원내대표와 지도부를 그 전에 선출하면 지방선거에 대한 부담감으로 전대를 하더라도 출전할 선수가 많지 않다”며 “한마디로 뛰는 말이 있어야 경마대회를 여는데 조기전대를 해도 새로운 지도부를 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역시 반대 의견을 피력했다.
이어 “공천, 선대위 구성 일정을 감안해 시기를 지나서 전대를 하는 것도 순조로운 일정에 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서병수 전 사무총장은 이 의원이 ‘당내 민주화’를 언급한 사실을 놓고 "최고위원회, 중진회의에서 자기 의견을 공개적으로 언제, 어느 때나 말씀할 수 있는 상황이 과거 얼마나 있었느냐"며 "(전대를)앞당기고 뒤에 하는 게 당내 민주화와 어떤 연관이 있느냐"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전대 문제는 조기 전대냐, 지방선거 이후로 연기 하느냐는 지방선거와 직접적으로 연결돼 가장 전략적으로 해야 한다"며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또 앞으로 대선 승리와도 연결되니 당내 의견을 통합해서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황우여 대표는 당내 일각의 조기 전대 실시 주장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비상대책위원회+선거대책위원회’의 양대 체제를 대안으로 제시한 바 있다.
황 대표는 ‘조기전대론’에 대해 “임기 만료 시점인 5월 15일이 지방선거 직전이라서 전대를 치르기에 적절하지 않고, 2∼3월에 미리 하면 좋지만 당이 시끄러워질 수 있어 걱정이 많다”며 반대 의사를 드러냈다.
조기 전대의 문제점으로는 새로운 당 대표에게 선거부터 치르게 하는 부담과 함께 매번 5월에 전대를 치르는 관행이 향후 ‘4월 총선’과 ‘6월 지방선거’ 일정과 계속 겹치게 되는 난점을 지적했다. 때문에 당내에서는 7월 재·보궐선거까지 치른 뒤인 8월이 적기로 꼽히고 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