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활동비·마케팅비도 지원
[시민일보]인천 부평시장로터리지하상가가 청년 창업의 중심지로 급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평구는 부평시장로터리지하상가내 비어 있는 점포를 활용해 청년 창업을 지원키로 하고 예비 창업자를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부평시장로터리지하상가는 1980년 3월22일 부평구 시장로 지하42(부평동 224-1)에 연면적 4899㎡ 규모, 298개 점포가 있는 신부평로지하도상가에 이어 부평지역에서는 두 번째로 오래된 지하상가다.
부평시장과 근접해 있어 당시 상업공간 수요 증가에 따라 건설됐으나 부평역 지하상가에 연결이 돼 있지 않은 데다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빈 점포가 늘어났다.
구는 쇠퇴한 시장로터리지하상가와 인접한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하상가 내 비어 있는 점포를 청년 창업의 중심으로 활용하기로 한 것이다.
구는 시비 1억5000만원을 들여 예비 청년 창업자를 대상으로 점포 임대비와 창업활동비, 마케팅 등을 지원한다. 신청 대상은 39세 이하 예비 청년 창업자로 신청 접수는 오는 27일까지다.
지원 가능 업종은 ▲부가가치가 높은 소상공인창업과 아이디어창업 등 신고객을 유치하며 특화 가능한 업종 ▲부평시장로터리지하도상가 및 지역사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업종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업종 등 다양한 분야가 가능하다.
구는 1단계 참여 신청서 및 창업계획서 등 서류 심사를 거쳐 2단계 면접심사를 통해 총 15명(팀)을 선정할 계획이다. 최종 선정된 예비창업자는 300만원의 창업자금과 입주 공간, 창업교육, 컨설팅, 홍보, 마케팅 등을 지원받는다.
현재 지하상가내 비어 있는 점포 64곳으로 이 가운데 이용 가능한 공실은 54곳이다. 구는 이 중 우선 30개 점포를 활용해 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입주 공간은 1명(팀)당 8~24㎡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체험교육 등 문화프로그램을 운영, 시장로터리지하상가를 청소년, 지역주민 등과 함께하는 문화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지역의 건강한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한편 특색 있는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킨다. (문의 032-509-6542)
문찬식 기자
[시민일보]인천 부평시장로터리지하상가가 청년 창업의 중심지로 급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평구는 부평시장로터리지하상가내 비어 있는 점포를 활용해 청년 창업을 지원키로 하고 예비 창업자를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부평시장로터리지하상가는 1980년 3월22일 부평구 시장로 지하42(부평동 224-1)에 연면적 4899㎡ 규모, 298개 점포가 있는 신부평로지하도상가에 이어 부평지역에서는 두 번째로 오래된 지하상가다.
부평시장과 근접해 있어 당시 상업공간 수요 증가에 따라 건설됐으나 부평역 지하상가에 연결이 돼 있지 않은 데다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빈 점포가 늘어났다.
구는 쇠퇴한 시장로터리지하상가와 인접한 전통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하상가 내 비어 있는 점포를 청년 창업의 중심으로 활용하기로 한 것이다.
구는 시비 1억5000만원을 들여 예비 청년 창업자를 대상으로 점포 임대비와 창업활동비, 마케팅 등을 지원한다. 신청 대상은 39세 이하 예비 청년 창업자로 신청 접수는 오는 27일까지다.
지원 가능 업종은 ▲부가가치가 높은 소상공인창업과 아이디어창업 등 신고객을 유치하며 특화 가능한 업종 ▲부평시장로터리지하도상가 및 지역사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업종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업종 등 다양한 분야가 가능하다.
구는 1단계 참여 신청서 및 창업계획서 등 서류 심사를 거쳐 2단계 면접심사를 통해 총 15명(팀)을 선정할 계획이다. 최종 선정된 예비창업자는 300만원의 창업자금과 입주 공간, 창업교육, 컨설팅, 홍보, 마케팅 등을 지원받는다.
현재 지하상가내 비어 있는 점포 64곳으로 이 가운데 이용 가능한 공실은 54곳이다. 구는 이 중 우선 30개 점포를 활용해 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입주 공간은 1명(팀)당 8~24㎡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 체험교육 등 문화프로그램을 운영, 시장로터리지하상가를 청소년, 지역주민 등과 함께하는 문화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지역의 건강한 문화콘텐츠를 생산하는 한편 특색 있는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누릴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킨다. (문의 032-509-6542)
문찬식 기자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