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설' 후순위 이름 알리기도 힘들어, 내천 역풍작용 가능성 지적도
[시민일보]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신당이 6.4지방선거에서 기초선거 공천폐지 방침을 결정한 이후 내천제도의 적극 활용 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최근 의원총회에서 “기초선거 무공천으로 당원들이 탈당하는 것이 가장 가슴 아프다”라며 “지선에서 이들을 도울 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사실상 내천의지를 내보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새정치연합측도 민주당이 무공천을 결정하기 전까지 이같은 규정을 적극 이용할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서울시당 관계자는 9일 “통합신당이 무공천 결정에도 내천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지역의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승리를 위한 고육책”이라며 “특히 서울 구청장 선거의 경우 오차범위의 접전 양상인 새누리당과 통합신당간 정당지지율을 고려하면 6.4지방선거에서 후보난립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에 중앙당 차원의 후보간 교통정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서울시 25개구 가운데 민주당 소속 구청장은 19명이지만, 공천과 내천을 포기할 경우 어느 곳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당에서는 무공천 결정에 따라 신당 후보들을 도울 방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 후보와 대등한 위치에서 싸우려면 통합신당이 내천을 통해 힘을 모아 줘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내천'이 역풍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들어 포기하는 게 낫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분위기다.
후보 인지도가 높지 않은 기초 선거의 경우 정당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데 기호 1번을 부여받는 새누리당 후보에 반해 정당기호가 없는 통합신당 후보들은 사실상 여러 무소속 후보 가운데 한 사람으로 비춰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실제 서울의 경우 구청장 이름을 모르는 유권자가 태반인데 내천 사실을 주민들에게 알린다고 해서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기 어려울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무공천 방침을 세웠으면서 내천하다가 비판에 직면하느니 차라리 진정성이라도 확보해서 후일을 도모하는 게 나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시민일보]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신당이 6.4지방선거에서 기초선거 공천폐지 방침을 결정한 이후 내천제도의 적극 활용 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최근 의원총회에서 “기초선거 무공천으로 당원들이 탈당하는 것이 가장 가슴 아프다”라며 “지선에서 이들을 도울 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사실상 내천의지를 내보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새정치연합측도 민주당이 무공천을 결정하기 전까지 이같은 규정을 적극 이용할 계획을 세웠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서울시당 관계자는 9일 “통합신당이 무공천 결정에도 내천 카드를 꺼내 든 것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지역의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승리를 위한 고육책”이라며 “특히 서울 구청장 선거의 경우 오차범위의 접전 양상인 새누리당과 통합신당간 정당지지율을 고려하면 6.4지방선거에서 후보난립은 공멸을 의미하기 때문에 중앙당 차원의 후보간 교통정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현재 서울시 25개구 가운데 민주당 소속 구청장은 19명이지만, 공천과 내천을 포기할 경우 어느 곳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당에서는 무공천 결정에 따라 신당 후보들을 도울 방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누리당 후보와 대등한 위치에서 싸우려면 통합신당이 내천을 통해 힘을 모아 줘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내천'이 역풍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들어 포기하는 게 낫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분위기다.
후보 인지도가 높지 않은 기초 선거의 경우 정당이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는데 기호 1번을 부여받는 새누리당 후보에 반해 정당기호가 없는 통합신당 후보들은 사실상 여러 무소속 후보 가운데 한 사람으로 비춰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실제 서울의 경우 구청장 이름을 모르는 유권자가 태반인데 내천 사실을 주민들에게 알린다고 해서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기 어려울 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무공천 방침을 세웠으면서 내천하다가 비판에 직면하느니 차라리 진정성이라도 확보해서 후일을 도모하는 게 나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