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증권시장 상장요건을 갖춘 기업 중 실제로 상장하는 기업의 비율이 2010년 이후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상장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0년에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요건을 충족한 664개 기업 중 22개 기업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으나(3.3%), 2013년에는 811개의 상장가능기업 중 단지 4개(0.5%)의 기업만 상장했다.
기업공개(IPO) 규모 역시 2010년 이후 매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22개사, 8조7000억원에 이르던 기업공개규모가 2013년에는 3개사, 6600억원으로 급감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주식시장 침체로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겪었던 2008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공개건수는 당시보다 더 준 것으로 나타났다(6건→3건).
이처럼 기업들이 기업공개를 꺼리는 이유로, 전경련은 기업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지속돼 기업의 투자가 위축되고, 자금수요도 감소된 데다, 주식시장 침체로 인해 기업공개를 통한 자금조달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경련 배상근 본부장은 “주식시장 침체로 자금조달은 어려운데 각종 규제로 인한 상장유지비용까지 감당해야하니, 기업들이 기업공개를 꺼리고 있다”며 “상장법인에 가해지는 각종 규제 중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폐지해 기업의 상장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기업의 투자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우리 경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상장현황을 조사한 결과, 2010년에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요건을 충족한 664개 기업 중 22개 기업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으나(3.3%), 2013년에는 811개의 상장가능기업 중 단지 4개(0.5%)의 기업만 상장했다.
기업공개(IPO) 규모 역시 2010년 이후 매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22개사, 8조7000억원에 이르던 기업공개규모가 2013년에는 3개사, 6600억원으로 급감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주식시장 침체로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겪었던 2008년과 비슷한 수준이며, 공개건수는 당시보다 더 준 것으로 나타났다(6건→3건).
이처럼 기업들이 기업공개를 꺼리는 이유로, 전경련은 기업경영환경 불확실성이 지속돼 기업의 투자가 위축되고, 자금수요도 감소된 데다, 주식시장 침체로 인해 기업공개를 통한 자금조달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전경련 배상근 본부장은 “주식시장 침체로 자금조달은 어려운데 각종 규제로 인한 상장유지비용까지 감당해야하니, 기업들이 기업공개를 꺼리고 있다”며 “상장법인에 가해지는 각종 규제 중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폐지해 기업의 상장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기업의 투자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우리 경제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