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누리당은 24일 새정치민주연합(새민련)의 기초선거 비례대표 공천 검토와 관련 '기초선거 무공천 입장과 배치된다'며 공격에 나섰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한길 안철수 공동위원장은 즉각 기초선거 공천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비례대표 공천문제를 사과해야 한다"며 "비례대표 공천이야말로 유력 번호를 받으면 당선이 확실시되는데 국회의원에 예속되는 공천비리를 막겠다는 것에 대한 정반대 공천"이라고 공격했다.
그러면서 "결국에는 비례대표 공천에 이어 기초선거 지역구 공천까지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 된다"고 강조했다.
심재철 최고위원도 "민주당이 기초의원 비례대표를 공천하겠다니 모순의 극치"라며 "앞에선 무공천 외치면서 무늬만 무공천이라는 꼼수를 쓰는 것은 국민 눈속임을 하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실제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는 비례대표 공천은 물론 무공천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전날 서울 대방동 여성플라자에서 열린 서울시당 창당대회에서도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간 통합의 고리 역할을 했던 기초선거 무공천 결정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특히 '기초의회 비례대표 반드시 공천' '당헌당규 여성의 무공천 승계하라' '여성의 무공천 실천이 새정치'라 적힌 피켓을 든 사람들이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이 섰던 발언대 바로 앞에 자리를 잡고 앉아 신당의 공천 방침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모습도 눈에 띄였다.
이들의 불만은 창당대회가 끝나고도 이어졌다.
민주당 서울시당 소속 청년위원들은 기초선거 무공천 결정을 성토하며 지도부를 향해 결정 철회를 요구했다.
이들은 "새누리당도 기초선거 무공천을 하면 모르겠지만 지금처럼 우리만 무공천할 경우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라며 "2번 없이 선거를 치르는 것은 그야말로 망하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한 청년위원은 "김한길 대표도 지금 무공천 방침을 철회하자는 우리의 목소리를 은근히 기다릴 수도 있다.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오영식 서울시당 공동위원장은 "무공천에 따른 지역에서 혼선과 고충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이 부분에 대해 창당 이후 대응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무공천 재검토 가능성을 시사 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중앙당 창당대회가 마무리되는 26일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 기초선거 무공천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한층 높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유기준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한길 안철수 공동위원장은 즉각 기초선거 공천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비례대표 공천문제를 사과해야 한다"며 "비례대표 공천이야말로 유력 번호를 받으면 당선이 확실시되는데 국회의원에 예속되는 공천비리를 막겠다는 것에 대한 정반대 공천"이라고 공격했다.
그러면서 "결국에는 비례대표 공천에 이어 기초선거 지역구 공천까지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 된다"고 강조했다.
심재철 최고위원도 "민주당이 기초의원 비례대표를 공천하겠다니 모순의 극치"라며 "앞에선 무공천 외치면서 무늬만 무공천이라는 꼼수를 쓰는 것은 국민 눈속임을 하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실제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는 비례대표 공천은 물론 무공천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전날 서울 대방동 여성플라자에서 열린 서울시당 창당대회에서도 민주당과 새정치연합 간 통합의 고리 역할을 했던 기초선거 무공천 결정이 쟁점으로 떠올랐다.
특히 '기초의회 비례대표 반드시 공천' '당헌당규 여성의 무공천 승계하라' '여성의 무공천 실천이 새정치'라 적힌 피켓을 든 사람들이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새정치연합 안철수 중앙운영위원장이 섰던 발언대 바로 앞에 자리를 잡고 앉아 신당의 공천 방침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모습도 눈에 띄였다.
이들의 불만은 창당대회가 끝나고도 이어졌다.
민주당 서울시당 소속 청년위원들은 기초선거 무공천 결정을 성토하며 지도부를 향해 결정 철회를 요구했다.
이들은 "새누리당도 기초선거 무공천을 하면 모르겠지만 지금처럼 우리만 무공천할 경우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라며 "2번 없이 선거를 치르는 것은 그야말로 망하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한 청년위원은 "김한길 대표도 지금 무공천 방침을 철회하자는 우리의 목소리를 은근히 기다릴 수도 있다.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오영식 서울시당 공동위원장은 "무공천에 따른 지역에서 혼선과 고충은 이루 다 말할 수 없다"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이 부분에 대해 창당 이후 대응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무공천 재검토 가능성을 시사 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중앙당 창당대회가 마무리되는 26일 이후 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 기초선거 무공천 철회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한층 높아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