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 고리였던 기초선거 무공천 문제를 두고 새정치민주연합 내부에서 갈등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최재천 의원은 26일 원칙론을 주장한 반면 박영선 의원은 현실론을 강조했다.
최 의원은 이날 불교방송에 출연해 숫자만 갖고 뽑는 나라가 몇 되지 않는데 우리나라가 그렇다면서 정당 표시에 상관없이 무조건 기호 2번만 보고 민주당 지지자들이 찍을 것이라는 정치적 논법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기초선거 무공천 원칙에 힘을 실었다.
다만 최 본부장은 지난 21일 기자간담회에서 헌법재판소에 따르면 남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당도 무소속 후보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지원이 가능할지 충분히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 의원은 같은 날 SBS라디오에서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며 대부분의 국민이 지역 구청장이나 구의원의 성함을 잘 기억하지 못할 텐데 번호 없이 치러지는 선거가 과연 공정하느냐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김·안 대표가 말한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은 지켜져야 하지만, 지방자치라는 것이 지방의 권한을 위임하는 것이니만큼 이 정신에 입각해 각 시도당위원장에게 무공천에 대한 결정 권한을 위임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최재천 의원은 26일 원칙론을 주장한 반면 박영선 의원은 현실론을 강조했다.
최 의원은 이날 불교방송에 출연해 숫자만 갖고 뽑는 나라가 몇 되지 않는데 우리나라가 그렇다면서 정당 표시에 상관없이 무조건 기호 2번만 보고 민주당 지지자들이 찍을 것이라는 정치적 논법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기초선거 무공천 원칙에 힘을 실었다.
다만 최 본부장은 지난 21일 기자간담회에서 헌법재판소에 따르면 남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당도 무소속 후보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간접지원이 가능할지 충분히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 의원은 같은 날 SBS라디오에서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며 대부분의 국민이 지역 구청장이나 구의원의 성함을 잘 기억하지 못할 텐데 번호 없이 치러지는 선거가 과연 공정하느냐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김·안 대표가 말한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은 지켜져야 하지만, 지방자치라는 것이 지방의 권한을 위임하는 것이니만큼 이 정신에 입각해 각 시도당위원장에게 무공천에 대한 결정 권한을 위임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