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민련 "약속 지키려는 게 무책임? 부끄러운 집권당"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기초선거에서의 무공천 문제를 놓고 연일 날선 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은 새정치민주연합의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에 대해 “무책임하다”고 비난한 반면, 새민련은 새누리당을 겨냥해 “대선 약속을 이행하라”고 압박했다.
새정치연합 김정현 부대변인은 29일 논평에서 해외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귀국 후 제 1의제는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 지키기"라며 "박 대통령은 자신이 약속한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에 대한 입장부터 밝혀야 한다. 그것이 한 나라를 이끌고 있는 대통령으로서 당연한 책무"라고 공세를 취했다.
김 부대변인은 "국민들은 박 대통령에게 공약 파기에 대한 책임을 넘어 전국적 단위에서 치러지는 지방선거를 혼란으로 몰고 간 책임을 이중으로 물을 수밖에 없다"며 "이 문제를 놓고 국론이 분열되고 있는데도 꿀 먹은 벙어리처럼 여의도 일은 여의도에서 알아서 해결하라는 식의 책임 떠넘기기는 무책임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그는 "불리하면 입을 닫고, 급하면 국회 탓을 하는 것이 대통령이 취할 태도는 아니다"며 "박 대통령이 더는 침묵으로 일관한다면 결국 국민적 저항에 직접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이 스스로 무공천 문제를 놓고 혼란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여당의 지방선거 전략에 '감나라, 배나라'하며 막말 꼴불견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맞받았다.
새누리당 이학만 부대변인은 반박 논평에서 "새정치연합 지도부 간 무공천 논란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외교와 통일에 전념하는 대통령에게 막말로 권위를 흔들려고 한다면 국민은 또다시 새정치연합을 옛 민주당 처럼 민심으로 처단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지난 28일 오전 열린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드러나겠지만 기초선거 무공천은 정말 매우 무책임한 것”이라며 “검증 안 된 후보들의 난립과 돈 선거의 부활, 그리고 여성·장애인 등 정치적 소수자의 정치 진출을 원천 봉쇄하는 부작용이 불 보듯 뻔하다”고 포문을 열었다.
같은당 홍문종 사무총장도 "무공천을 하면 수많은 무자격자들이 정계에 진출할 가능성이 우려되고 또 후보가 난립돼 우리 국민들이 올바른 선택을 하는데 굉장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야당의 행태로 이번 6·4 지방선거가 불행한 기초선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와 걱정이 있다"고 가세했다.
홍지만 원내대변인도 논평에서 "새정치연합이 계속 기초선거 무공천이 모든 정치적 난제들을 말끔하게 풀어낼 것처럼 묘사해 국민들을 혼란에 빠뜨리려 하고 있다"며 "검증되지도 않은 약을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속여 파는 돌팔이 약장수의 행동과 같아서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새정치연합이 공천개혁이라며 부정부패로 발생된 재보선에 대해 무공천 방침을 발표했다가 하루 만에 당내 반발을 의식해 선거사범은 제외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는 보여주기용 꼼수의 전형"이라며 "만약 은근슬쩍 넘어간다면 통합이 대국민 사기극이자 정치공학적 야합에 불과했음을 스스로 자인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새민련은 새누리당에 기초선거 무공천 공약을 이행하라며 역공에 나섰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이날 상임최고위원회의에서 "나는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을 지키려고 했다. 그리고 손해를 보더라도 새정치연합은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다"며 "약속을 이행하면 간단한 일인데 새누리당의 입장은 도대체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국민도 혼란스럽다"고 지적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박 대통령이 국민과의 약속을 파기하자 자신이 주장하던 정당공천 폐지를 접고 침묵하고 있던 황우여 대표가 오히려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려는 새정치민주연합을 무책임하다고 말했다"며 "이는 참으로 무책임한 집권당의 부끄러운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새민련 내부에서는 당 지도부를 향해 기초선거 공천폐지를 위해 총력을 집중해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내 정치교체·정당재구성을 위한 혁신모임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지도부를 향해 "약속의 실천은 그 본질이 무공천이 아니라 정당공천제 폐지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며 "4월 임시국회의 제1의 의제는 기초공천 정당공천 폐지 입법화가 돼야 하고 그를 위해 총력으로 집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기초선거에서의 무공천 문제를 놓고 연일 날선 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은 새정치민주연합의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에 대해 “무책임하다”고 비난한 반면, 새민련은 새누리당을 겨냥해 “대선 약속을 이행하라”고 압박했다.
새정치연합 김정현 부대변인은 29일 논평에서 해외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귀국 후 제 1의제는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 지키기"라며 "박 대통령은 자신이 약속한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에 대한 입장부터 밝혀야 한다. 그것이 한 나라를 이끌고 있는 대통령으로서 당연한 책무"라고 공세를 취했다.
김 부대변인은 "국민들은 박 대통령에게 공약 파기에 대한 책임을 넘어 전국적 단위에서 치러지는 지방선거를 혼란으로 몰고 간 책임을 이중으로 물을 수밖에 없다"며 "이 문제를 놓고 국론이 분열되고 있는데도 꿀 먹은 벙어리처럼 여의도 일은 여의도에서 알아서 해결하라는 식의 책임 떠넘기기는 무책임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그는 "불리하면 입을 닫고, 급하면 국회 탓을 하는 것이 대통령이 취할 태도는 아니다"며 "박 대통령이 더는 침묵으로 일관한다면 결국 국민적 저항에 직접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이 스스로 무공천 문제를 놓고 혼란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여당의 지방선거 전략에 '감나라, 배나라'하며 막말 꼴불견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맞받았다.
새누리당 이학만 부대변인은 반박 논평에서 "새정치연합 지도부 간 무공천 논란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오히려 외교와 통일에 전념하는 대통령에게 막말로 권위를 흔들려고 한다면 국민은 또다시 새정치연합을 옛 민주당 처럼 민심으로 처단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지난 28일 오전 열린 상임전국위원회에서 “이번 지방선거에서 드러나겠지만 기초선거 무공천은 정말 매우 무책임한 것”이라며 “검증 안 된 후보들의 난립과 돈 선거의 부활, 그리고 여성·장애인 등 정치적 소수자의 정치 진출을 원천 봉쇄하는 부작용이 불 보듯 뻔하다”고 포문을 열었다.
같은당 홍문종 사무총장도 "무공천을 하면 수많은 무자격자들이 정계에 진출할 가능성이 우려되고 또 후보가 난립돼 우리 국민들이 올바른 선택을 하는데 굉장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며 "야당의 행태로 이번 6·4 지방선거가 불행한 기초선거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와 걱정이 있다"고 가세했다.
홍지만 원내대변인도 논평에서 "새정치연합이 계속 기초선거 무공천이 모든 정치적 난제들을 말끔하게 풀어낼 것처럼 묘사해 국민들을 혼란에 빠뜨리려 하고 있다"며 "검증되지도 않은 약을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속여 파는 돌팔이 약장수의 행동과 같아서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새정치연합이 공천개혁이라며 부정부패로 발생된 재보선에 대해 무공천 방침을 발표했다가 하루 만에 당내 반발을 의식해 선거사범은 제외하기로 했다고 한다. 이는 보여주기용 꼼수의 전형"이라며 "만약 은근슬쩍 넘어간다면 통합이 대국민 사기극이자 정치공학적 야합에 불과했음을 스스로 자인하는 꼴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새민련은 새누리당에 기초선거 무공천 공약을 이행하라며 역공에 나섰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이날 상임최고위원회의에서 "나는 기초선거 무공천 약속을 지키려고 했다. 그리고 손해를 보더라도 새정치연합은 약속을 지키겠다고 말했다"며 "약속을 이행하면 간단한 일인데 새누리당의 입장은 도대체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국민도 혼란스럽다"고 지적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박 대통령이 국민과의 약속을 파기하자 자신이 주장하던 정당공천 폐지를 접고 침묵하고 있던 황우여 대표가 오히려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려는 새정치민주연합을 무책임하다고 말했다"며 "이는 참으로 무책임한 집권당의 부끄러운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새민련 내부에서는 당 지도부를 향해 기초선거 공천폐지를 위해 총력을 집중해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내 정치교체·정당재구성을 위한 혁신모임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지도부를 향해 "약속의 실천은 그 본질이 무공천이 아니라 정당공천제 폐지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며 "4월 임시국회의 제1의 의제는 기초공천 정당공천 폐지 입법화가 돼야 하고 그를 위해 총력으로 집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