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경기지사 예비후보가 9일 경선 보이콧 가능성을 강력 시사해 귀추가 주목된다.
김 예비후보는 이날 9일 오전 도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역선택 방지는 관행이고 상식임에도 당의 논의가 달라지지 않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역선택' 방지 대책이 없으면 중대결심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대결심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이는 중앙당이 새누리당 지지자까지 여론조사 대상에 포함하는 6·4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경선 시행규칙을 확정한 것에 대해 ‘역선택’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역선택'은 여당 지지자가 조사에 참여, 야당의 약체 후보에게 표를 던지는 것을 말한다.
김 후보는 "기초선거 무공천에 대한 여론조사에서는 역선택을 우려해 새누리당 지지자를 빼놓고, 정작 공직후보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를 무시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다만 그는 탈당 등을 포함, 중대결심의 내용을 묻는 말에 김 후보는 "아직 그것까지 말할 때는 아니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의 경기지사 후보경선 방식은 '공론조사투표 50% + 국민여론조사 50%'으로 결정된 상태다.
김 예비후보는 이날 9일 오전 도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역선택 방지는 관행이고 상식임에도 당의 논의가 달라지지 않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역선택' 방지 대책이 없으면 중대결심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대결심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이는 중앙당이 새누리당 지지자까지 여론조사 대상에 포함하는 6·4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경선 시행규칙을 확정한 것에 대해 ‘역선택’을 우려하며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역선택'은 여당 지지자가 조사에 참여, 야당의 약체 후보에게 표를 던지는 것을 말한다.
김 후보는 "기초선거 무공천에 대한 여론조사에서는 역선택을 우려해 새누리당 지지자를 빼놓고, 정작 공직후보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를 무시하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다만 그는 탈당 등을 포함, 중대결심의 내용을 묻는 말에 김 후보는 "아직 그것까지 말할 때는 아니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의 경기지사 후보경선 방식은 '공론조사투표 50% + 국민여론조사 50%'으로 결정된 상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