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기초선거 무공천 방침을 철회하자마자 내부에서 기초선거 공천을 둘러싼 불협화음이 빚어지고 있다.
민주당과의 통합 이전 안철수 공동대표와 뜻을 함께 했던 기초선거 출마자들은 지난 11일 민주당 출신 국회의원들이 공천문제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 강력 비판하고 나섰다.
실제 오창훈(구 새정추 경기도 조직위원) 변호사 등 새정치연합 지방선거 예비 후보들은 '국회의원의 지방선거 공천 불관여 선언'을 촉구했다.
이날 성남시장 예비후보 허재안, 경기도 광주시장 예비후보 장형옥, 양주시장예비후보 이흥규, 수원시장 예비후보 이대의, 오창훈 변호사, 안철수 전국 팬클럽 대표 김승주, 단국대 김윤석 교수, 김인봉 전 새정치연합 사무처장 등은 이날 성명을 통해 “기초 무공천 공약이 나올 수밖에 없게 했던 국회의원의 ‘제왕적’ 구태가 재현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기초 무공천 선언은 상당수 국회의원들이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들의 공천권을 장악하고 그 후보들을 수족처럼 부리며 심한 경우 금품까지 수수하는 작태를 막기 위한 시도였다. 기초 무공천이 원리적으로 타당한 것인가는 차치하고, 대통령 선거에서 모든 후보가 이를 약속할 정도로 그 폐해가 심각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며 “새정치민주연합은 기초 무공천 공약을 불러온 구 민주당의 비민주적인 구조를 전혀 바꾸지 못한 상태에서 기초 공천으로 선회했다. 이 때문에 과거처럼 국회의원들이 기초 단체장과 기초 및 광역의원들의 공천을 결정하고, 이들을 수족처럼 부리는 행태가 재현될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실제로 광역의원 공천과정에서 국회의원들이 출마자를 결정한 뒤 다른 후보들을 사퇴시키려고 압력을 가했던 행태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까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현장에서는 국회의원들이 기초 지방선거 출마자를 이미 내정해 놓았다는 말까지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은 구 민주당의 악습과 구태를 재현해 국민에게 외면당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다”며 “새정치민주연합의 국회의원들이 앞장서서 기득권을 버리는 자세를 보여주고 지방선거 공천에 일절 관여하지 않겠다는 선언을 하라”고 압박했다.
이어 “지방선거의 출마자들을 자신들의 재선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함으로써 당원과 국민의 뜻에 따라 공천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들은 “기초 무공천은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공천을 받기 위해, 국회의원 및 정당의 눈치를 보는 참담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러한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과감하게 공천권을 국민에게 개방해 돌려줄 것을 촉구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민주당과의 통합 이전 안철수 공동대표와 뜻을 함께 했던 기초선거 출마자들은 지난 11일 민주당 출신 국회의원들이 공천문제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 강력 비판하고 나섰다.
실제 오창훈(구 새정추 경기도 조직위원) 변호사 등 새정치연합 지방선거 예비 후보들은 '국회의원의 지방선거 공천 불관여 선언'을 촉구했다.
이날 성남시장 예비후보 허재안, 경기도 광주시장 예비후보 장형옥, 양주시장예비후보 이흥규, 수원시장 예비후보 이대의, 오창훈 변호사, 안철수 전국 팬클럽 대표 김승주, 단국대 김윤석 교수, 김인봉 전 새정치연합 사무처장 등은 이날 성명을 통해 “기초 무공천 공약이 나올 수밖에 없게 했던 국회의원의 ‘제왕적’ 구태가 재현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기초 무공천 선언은 상당수 국회의원들이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들의 공천권을 장악하고 그 후보들을 수족처럼 부리며 심한 경우 금품까지 수수하는 작태를 막기 위한 시도였다. 기초 무공천이 원리적으로 타당한 것인가는 차치하고, 대통령 선거에서 모든 후보가 이를 약속할 정도로 그 폐해가 심각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며 “새정치민주연합은 기초 무공천 공약을 불러온 구 민주당의 비민주적인 구조를 전혀 바꾸지 못한 상태에서 기초 공천으로 선회했다. 이 때문에 과거처럼 국회의원들이 기초 단체장과 기초 및 광역의원들의 공천을 결정하고, 이들을 수족처럼 부리는 행태가 재현될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실제로 광역의원 공천과정에서 국회의원들이 출마자를 결정한 뒤 다른 후보들을 사퇴시키려고 압력을 가했던 행태가 기초단체장과 기초의원까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면서 “현장에서는 국회의원들이 기초 지방선거 출마자를 이미 내정해 놓았다는 말까지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정치민주연합은 구 민주당의 악습과 구태를 재현해 국민에게 외면당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다”며 “새정치민주연합의 국회의원들이 앞장서서 기득권을 버리는 자세를 보여주고 지방선거 공천에 일절 관여하지 않겠다는 선언을 하라”고 압박했다.
이어 “지방선거의 출마자들을 자신들의 재선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선언함으로써 당원과 국민의 뜻에 따라 공천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들은 “기초 무공천은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공천을 받기 위해, 국회의원 및 정당의 눈치를 보는 참담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며 “이러한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과감하게 공천권을 국민에게 개방해 돌려줄 것을 촉구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