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영란 기자]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안철수 두 공동대표가 6.4 지방선거 후보자 공천 방식에 따른 여파로 코너에 몰리는 정황이다.
새정치연합은 최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최종후보 심사를 공동대표와 최고위원회의에서 주관토록 하는 특례부칙을 신설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선거에서 기초단체장 자격심사는 중앙당이 주관하고 공천과정에 있어 현역의원의 영향력을 최대한 배제한다는 당 방침에 불만을 품은 당내 세력들이 두 공동대표를 향해 공세를 펴는 형국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설훈 의원은 17일 중앙당의 기초단체장 자격심사와 관련, "중앙당에서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설훈 의원은 이날 YTN <전원책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각 지역에 의원들이 있고 시의원, 도의원, 당원들이 있기 때문에 그 지역에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칙적 민주주의"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설 의원은 자격심사 기준에 대해서는 "당연히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해야 하는데 그렇게 추상적으로 이야기하면 결정한 사람 마음대로 하겠다는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다"며 "좀 더 수정을 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역의원들의 공천개입 배제에 대해서도 "원칙으로는 지역의 자체적인 결정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지역구 국회의원들에게) 무조건 지역에서 손을 떼라고 한다면 지역사정을 모르고하는 판단"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안 대표 측을 위한 조치라는 의혹에 대해 "어떻게 배려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좋은 모양새가 되느냐가 문제"라며 "이렇게 국회의원들 다 빠져라는 식으로 하는 것은 배려가 아니고 오히려 일을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5일에는 최재성 의원이 총대를 매고 나섰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중앙정치 예속을 확대하고 시·도당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며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이번 6.4 기초선거 공천 후보선정 권한을 갖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천관리위원회에서 후보자 선정 권한을 가지는 특례부칙을 폐지하라"며 "이번 개혁 공천은 시민들과 당원들이 후보를 선정할 수 있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하는데 특례 부칙은 이를 역행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웅래 사무총장 명의로 시·도당 공천관리위원회에 발송된 ‘현역 의원은 위원 총수의 3분의 1을 넘지 말도록 하라’는 취지의 공문도 반발을 부르고 있다.
심지어 지난 15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는 김한길·안철수 대표가 ‘현역 국회의원 공천 불개입’을 선언하려다 의원들이 집단 반발에 직면하면서 곤혹스런 처지가 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 체제에 힘이 실리지 않는 원인으로 지지율 하락으로 ‘도로 민주당’ 입구까지 갔다는 우려가 당 안팎에 팽배하기 때문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실제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창당 이후 계속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1일 발표한 조사(전국 1203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2.8%p, 응답률 17%)에서는 26%까지 내려갔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지방선거 후보 경선이 시작되면 그동안 내재됐던 갈등이 폭발,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의 리더십이 한계에 봉착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최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최종후보 심사를 공동대표와 최고위원회의에서 주관토록 하는 특례부칙을 신설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선거에서 기초단체장 자격심사는 중앙당이 주관하고 공천과정에 있어 현역의원의 영향력을 최대한 배제한다는 당 방침에 불만을 품은 당내 세력들이 두 공동대표를 향해 공세를 펴는 형국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설훈 의원은 17일 중앙당의 기초단체장 자격심사와 관련, "중앙당에서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설훈 의원은 이날 YTN <전원책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각 지역에 의원들이 있고 시의원, 도의원, 당원들이 있기 때문에 그 지역에 자체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칙적 민주주의"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설 의원은 자격심사 기준에 대해서는 "당연히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다. 구체적으로 해야 하는데 그렇게 추상적으로 이야기하면 결정한 사람 마음대로 하겠다는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다"며 "좀 더 수정을 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역의원들의 공천개입 배제에 대해서도 "원칙으로는 지역의 자체적인 결정을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지역구 국회의원들에게) 무조건 지역에서 손을 떼라고 한다면 지역사정을 모르고하는 판단"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안 대표 측을 위한 조치라는 의혹에 대해 "어떻게 배려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좋은 모양새가 되느냐가 문제"라며 "이렇게 국회의원들 다 빠져라는 식으로 하는 것은 배려가 아니고 오히려 일을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5일에는 최재성 의원이 총대를 매고 나섰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중앙정치 예속을 확대하고 시·도당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며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이번 6.4 기초선거 공천 후보선정 권한을 갖는 것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천관리위원회에서 후보자 선정 권한을 가지는 특례부칙을 폐지하라"며 "이번 개혁 공천은 시민들과 당원들이 후보를 선정할 수 있는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해야 하는데 특례 부칙은 이를 역행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웅래 사무총장 명의로 시·도당 공천관리위원회에 발송된 ‘현역 의원은 위원 총수의 3분의 1을 넘지 말도록 하라’는 취지의 공문도 반발을 부르고 있다.
심지어 지난 15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는 김한길·안철수 대표가 ‘현역 국회의원 공천 불개입’을 선언하려다 의원들이 집단 반발에 직면하면서 곤혹스런 처지가 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 체제에 힘이 실리지 않는 원인으로 지지율 하락으로 ‘도로 민주당’ 입구까지 갔다는 우려가 당 안팎에 팽배하기 때문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실제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창당 이후 계속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1일 발표한 조사(전국 1203명,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2.8%p, 응답률 17%)에서는 26%까지 내려갔다.
이에 따라 본격적인 지방선거 후보 경선이 시작되면 그동안 내재됐던 갈등이 폭발,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의 리더십이 한계에 봉착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