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일보=이대우 기자]산업통상자원부가 직원이 500명이 넘는 산하기관의 주요 간부에 대해 사전자격 심사제도를 도입한다.
21일 산업부에 따르면 오는 10월부터 기존 시행중인 공공기관 상임이사에 대한 역량평가를 지역본부의 본부장이나 상임이사에 준하는 기타 주요 보직 후보자들로 확대·시행하기로 했다.
대상기관은 산업부 산하 46개 공공기관 가운데 소속 직원들이 500명 이상인 경우다.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서부·남부·남동·중부·동부발전 등 발전 자회사들의 지역본부장들이 포함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산업부 산하 공기업의 주요 간부까지 사전자격 심사제도를 도입할 경우 산업부에서 인사개입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퇴직한 산업부 출신 고위 공직자들을 산하 공기업의 주요 간부로 내정하기 위한 평가가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전자격 심사제도 확대는 인사 개입이 아나리 역량평가를 철저히 실시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전자격 제도가 시행되면 간부들은 불편할 수도 있다"면서도 "역량이 있는 사람들을 선발하겠다는 취지로 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산하 공공기관에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21일 산업부에 따르면 오는 10월부터 기존 시행중인 공공기관 상임이사에 대한 역량평가를 지역본부의 본부장이나 상임이사에 준하는 기타 주요 보직 후보자들로 확대·시행하기로 했다.
대상기관은 산업부 산하 46개 공공기관 가운데 소속 직원들이 500명 이상인 경우다.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서부·남부·남동·중부·동부발전 등 발전 자회사들의 지역본부장들이 포함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산업부 산하 공기업의 주요 간부까지 사전자격 심사제도를 도입할 경우 산업부에서 인사개입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퇴직한 산업부 출신 고위 공직자들을 산하 공기업의 주요 간부로 내정하기 위한 평가가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전자격 심사제도 확대는 인사 개입이 아나리 역량평가를 철저히 실시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전자격 제도가 시행되면 간부들은 불편할 수도 있다"면서도 "역량이 있는 사람들을 선발하겠다는 취지로 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산하 공공기관에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